[기자의 눈]기관 역할 없는 국내 암호화폐 시장

국제부 김기혁기자



최근 젊은 세대의 암호화폐 투자 광풍이 거세다. 올 1분기 처음으로 코인 투자에 뛰어든 10명 중 6명이 2030세대로 나타났다. 부동산 폭등으로 인해 ‘일확천금’의 기회를 놓칠 수 없다는 심리가 반영된 것이다.


해외에서도 올해 들어 암호화폐 시장이 뜨겁지만 그 양상은 전혀 다르다. 외신에선 골드먼삭스·JP모건체이스 등 금융기관들이 잇따라 비트코인을 금융 자산 포트폴리오의 하나로 편입시키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펀드를 운용하기로 했으며, 자산운용사 블랙록도 투자를 선언했다. 해외에서는 개인보다 기관의 시장 참여가 주류인 셈이다. 특히 고객이 맡긴 자산 규모 등에 여러 안전장치도 걸어놨다.


반면 국내 금융권에서는 암호화폐 관련 투자 상품을 내놓은 곳이 전무하다. 암호화폐 거래소의 고객 자금을 맡아주는 실명 계좌를 발급하는 역할만 할 뿐이다. 시장에 투자 방향을 제시해야 할 금융기관의 역할이 가로막힌 셈이다.


여기에는 암호화폐를 금융 자산으로 인정하지 않는 우리 정부의 시각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최근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암호화폐는 투기성이 강한 내재 가치가 없는 가상 자산”이라고 일축했다. 이런 강경 발언의 시초는 지난 2018년 암호화폐 거래 금지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는 박상기 전 법무부 장관이었다. 이후 3년이 흘렀지만 정부의 스탠스는 달라진 게 없다. 사실상의 ‘수수방관’이 아니면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제발 거품만은 터지지 말아야 한다’는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기관들이 암호화폐에 거리를 두면서 국내 암호화폐 시장이 더 음성화됐다는 지적을 내놓는다. 암호화폐 중에서도 시세조종이나 사기 우려가 있는 이른바 ‘잡코인’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는 것도 이런 경향을 대변한다. 기관을 통해 암호화폐에 간접 투자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면 과연 어땠을까.


/김기혁 기자 coldmetal@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