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충전 확충을 가로막는 걸림돌은 바로 ‘주민 수용성’이다. 수소 폭발에 대한 과도한 공포가 수소경제 태동기를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 및 업계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한 수소 폭발 사례는 총 11건이었다. 지난 2015년과 2016년에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가 2017년 3건, 2018년 5건, 2019년 1건, 지난해 2건이 발생했다. 이 가운데 2019년 5월 강릉과학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수소탱크 폭발 사고로 3,300㎡ 규모의 건물이 전손된 사건은 수소 폭발에 대한 공포를 키운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이 때문에 수소경제 정착을 위해 필수인 수소충전소나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설치는 번번이 지역 주민의 반발에 부딪치고 있다. 서울 강서구 수소생산기지와 인천 수소연료전지발전소가 지역 주민의 반대에 의해 발전소 건설이 지연되기도 했다. 서울 양재 수소충전소는 안전 관련 민원이 빗발치며 개장 후 1년 가까이 문을 닫았다 지난해 11월에 겨우 재개장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수소충전소에 대한 공포가 과도한 수준이라고 지적한다. 수소 자체는 가연성이 높지만 밀도가 낮고 가벼운 기체인 만큼 실제 폭발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흔히 얘기하는 ‘수소 폭발’은 중수소나 삼중수소와 같은 특수 수소를 섭씨 1억도 이상의 고온에서 터뜨릴 경우에 일어난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 따르면 수소는 일반적인 프로판가스(LPG)보다 안전하다. 같은 누출 상황을 가정했을 때 LPG는 가라앉지만 수소는 하늘로 날아가기 때문에 폭발의 위험성이 적다는 것이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수소전기차라고 하면 수소 폭탄을 연상하고 상당히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실제 캐나다 오슬로에서 수소저장소가 폭발했음에도 인명 피해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수소탱크 내 기압이 750~900바 정도로 고기압이기 때문에 설령 탱크가 터지더라도 고속으로 분출된 가스가 오히려 화염원의 불을 끄는 효과가 있다”며 “현대자동차가 수소전기차인 넥쏘를 개발할 때도 용광로에 수소연료탱크를 넣거나 총알을 관통시키는 등 다양한 실험을 통해 안전성을 검증했다”고 말했다.
선진국들은 이미 도심에 수소충전소를 속속 세우고 있다. 2013년에 수소전기차를 처음 만든 우리나라보다 1년 늦게 수소전기차를 만들기 시작한 일본은 이미 도쿄 시내에 수소충전소가 들어섰다. 프랑스에서도 택시 기사들이 직접 수소를 충전해 주행하고 있다.
결국 수소경제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민관이 함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한편 인센티브를 주는 등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인프라 구축이 전국에 걸쳐 일어나야 하는 일인 만큼 정부가 더욱 적극적으로 홍보 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시범 도시 내 주요 설비 위험성 평가와 함께 전문가를 초빙해 자문을 받으며 수소 설비 전반에 대해 사회의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오랫동안 자리 잡은 수소에 대한 사회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사업 주체도 보다 적극적인 주민 설득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변수연 기자 dive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