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위 韓 제조업, 코로나 위기 버팀목 됐다

유엔산업개발기구 경쟁력 평가




우리나라의 제조업 경쟁력이 독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제조업 경쟁력 덕분에 코로나19 충격 속에도 한국 경제가 선방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5일 산업연구원이 발행한 ‘한국 제조업 경쟁력, 코로나19 경제 위기 버팀목’ 보고서에 따르면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가 지난해 7월 2018년 지표를 기준으로 발표한 세계 제조업 경쟁력 지수(CIP)에서 우리나라는 전 세계 152개국 중 3위를 기록했다. UNIDO가 2년에 한 번씩 발표하는 CIP는 1인당 제조업 부가가치, 제조업 수출액 등 8개 항목을 종합한 지수로 국가별 총체적 제조업 경쟁력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의 순위는 지난 1990년 17위에서 계속 상승해 지난해 처음으로 미국과 일본을 제치며 3위에 올라섰다.


보고서는 이 같은 제조업 경쟁력이 우리나라의 코로나19 타격을 최소화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우리나라 제조업의 성장 기여도는 지난해 2분기 -1.6%포인트였으나 3분기 -0.2%포인트, 4분기 0%포인트를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0.8%포인트, 4분기 -1.0%포인트를 기록한 서비스업 성장 기여도를 2분기 연속 웃돌았다.


고용 측면에서도 제조업의 취업자 증감 정도는 전년과 차이가 크게 없었으나 서비스업은 코로나19 발발 이후 급감했다. 보고서는 “주요 28개국 중에서 제조업 비중이 두 번째로 높은 우리나라는 위기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성장률 감소 폭이 네 번째로 낮았으며 실업률 증가 폭 역시 28개국 중 여섯 번째로 낮았다”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해 세계경제는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성장률인 -3.3%를 기록했으나 우리나라 성장률은 -1.0%를 기록했다.


/세종=양철민 기자 chopi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