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난립’ 국민의힘, 전당대회 ‘컷오프’ 한다

과거 전당대회 후보 3인 인데
출마 거론 후보만 10여 명 달해
예비경선 도입, 최종 후보 선발

황우여(왼족) 국민의힘 중앙당 선거관리위원장이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 인사말을 하고 있다. /권욱기자

국민의힘이 오는 6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 대표 후보가 10명에 달하자 ‘컷오프’를 도입해 최종 후보를 선발한다. 이는 4·7 재보궐선거와 같은 후보 선출 모델이다. 하지만 컷오프를 어떤 방식으로 할지 규칙(룰)을 정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갈등이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


황우여 중앙당 선거관리위원장은 11일 국회에서 회의를 진행한 후 “후보들이 너무 많이 출마하시고자 할 때 선출의 편의상 컷오프할 수 있도록 의결했다”고 밝혔다.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본경선 전에 예비 경선을 거쳐 후보 일부를 컷오프(배제)하는 방식을 추진하는 이유는 자천타천으로 당 대표 후보군에 오르내리는 인사가 10명에 달해서다. 원내 후보만 주호영·조경태·홍문표·권영세·조해진·윤영석·김웅·김은혜 의원 등 8명 달한다. 원외 인사는 나경원 전 의원과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 거론되고 있다. 지난 2017년 전당대회에 나선 당 대표 후보군은 3명(신상진·홍준표·원유철), 2019년 전당대회도 3명(황교안·오세훈·김진태)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예비 경선을 통해 최종 후보를 선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받는 것이다.


문제는 경선 규칙이다. 당헌은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가 후보자 컷오프제도 도입과 심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관위가 컷오프 룰을 정하는 과정에서 불리한 상황에 처하는 후보가 반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4·7 재보궐선거의 서울·부산시장 예비 경선은 당원 20%, 시민 80% 여론조사를 통해 본경선 후보를 선발했다. 그러나 본경선은 시민 100%로 정하면서 잡음이 불거졌다.


더욱이 당헌상 전당대회 여론조사 규정은 당원 70%, 시민 30%로 고정돼 있다. 후보 상당수가 시민 여론조사 비율을 높이자고 주장하고 있어 예비 경선을 넘어 전당대회 전체의 룰을 정하는 데도 내분이 분출될 가능성이 높다. 국민의힘의 한 의원은 “서울시장 선거 승리 공식에 따라 당내 경선에서 여론조사 비중을 높이자는 주장이 많다”며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가 당원 90%, 시민 10%인 상황인데 우리 당만 시민 여론조사 비중을 높이자는 주장에 반발하는 의견들도 만만치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선관위는 다음 달 11일에 전당대회를 치르기로 확정했다. 후보 등록 마감일은 22일이다.






/구경우 기자 bluesquar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