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주변 우주쓰레기 7,000t"…로켓잔해 추락 반복되나

러 전문가 "관측장비로 추적되는 우주쓰레기 5%이하"
통제 못해 대기권서 완전연소 않으면 피해 초래할 수도

국제우주정거장(ISS). /타스연합뉴스

지구 주변 궤도를 떠도는 우주쓰레기의 규모가 7,000t에 이를 것이라는 전문가의 진단이 나왔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 산하 중앙기계제작연구소 정보·분석센터 소장 이고리 바카라스는 13일(현지 시각)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여러 평가에 따르면 현재 지구 주변 궤도에는 약 7,000t의 우주쓰레기가 있으며, 작동 중인 우주장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을 포함해 약 3,000t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바카라스는 지름 1cm 이상의 우주쓰레기 수는 수십만 개 이상으로 추산되며, 그 중 5%이하만이 지상 관측장비에 의해 발견돼 등록되고 추적된다고 덧붙였다.


우주쓰레기란 작동하지 않는 인공위성, 로켓 본체 또는 로켓에서 분리된 페어링과 부스터, 부서진 우주선 파편, 우주 비행사가 작업 도중 떨어트린 공구나 부품 등 우주공간에 있는 쓸모없는 인공 물체 모두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는 우주탐사선이나 인공위성의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 등으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대기권에 진입시켜 이들을 연소시킨다. 그러나 통제할 수 없는 경우, 우주공간에 그대로 남아 우주쓰레기가 되기 때문에 우주쓰레기의 양이 계속 증가할 수밖에 없다.


우주쓰레기는 가동 중인 우주 장치에 위협이 되는 것은 물론, 통제되지 않은 채 지구로 추락하기도 한다. 이때, 대기권에서 완전히 연소하지 않으면 잔해가 주거지로 떨어져 지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무게 20t에 달하는 중국 우주발사체 '창정-5B호'의 잔해물이 지구로 추락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우주쓰레기 문제 새롭게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홍연우 인턴기자 yeonwooh@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