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美 백신 추가공급 대상 포함되나...삼성 모더나 위탁생산, '백신 스와프'도 관심사

바이든, 6월까지 2,000만회분 백신 추가 공급 예고
일괄 성과는 못 얻을 수도...반중 동참 여부 등 변수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21일(현지 시간)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 국민적 기대가 가장 큰 부분은 무엇보다 백신 협력이다. 충분한 백신 확보와 빠른 접종만큼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를 끊을 수단이 현재로서는 없는 까닭이다. 19일 출국하는 문재인 대통령과 방미 수행단도 백신 협력을 끌어내는 데 총력을 다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18일 별도의 외부 일정 없이 한미정상회담 준비에 몰두했다.


특히 17일(현지 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기자회견 이후 백신 협력에 대한 기대는 더 높아졌다는 평가다. 바이든 대통령이 해외 백신 공급 확대 복안을 공개하면서 곧바로 정상회담을 갖는 한국도 그 대상에 포함될 수 있을지가 이번 정상회담의 또 다른 관건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미국에서 사용 승인을 받은 화이자와 모더나, 존슨앤드존슨(J&J)의 얀센 백신을 전 세계 다른 나라들과도 공유하겠다”며 “6월 말까지 미국의 모든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백신이 공급되면 최소 2,000만 회분 백신 추가분을 다른 나라들과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이 기존에 약속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6,000만 회분과는 별개의 추가 지원 계획이다. 미국 정부는 올 3월 자국에서 생산한 AZ 백신 400만여 회분을 인접국인 캐나다·멕시코에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데 이어 4월 말에는 6,000만 회분의 AZ 백신을 외국에 추가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여기에 이날 화이자·모더나·얀센 백신 2,000만 회분을 더하면서 다음 달까지 총 8,000만여 회분을 백신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나라들에 공급하겠다는 게 미국 정부의 구상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관련 질문을 받고 “양국 간 백신 협력과 관련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될 것”이라며 “(백신 협력과 관련해) 어떤 형태·내용이 논의될지는 지금 조율 중”이라고만 답했다.



이와 함께 한국이 미국의 여분 백신을 미리 받은 뒤 나중에 갚는 ‘백신 스와프’ 성사 여부도 이번 정상회담 기간의 관심사다. 바이오 업계와 정부 안팎에서는 한국 질병관리청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이와 관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한국 바이오 기업들이 미국 제약사들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국내에서 추가 위탁 생산하는 방안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미국 모더나 백신의 국내 위탁 생산을 맡게 될 것이라는 기대가 흘러나오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백신 기업들이 한국 등 외국 기업의 투자 등에 대한 협의를 지금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거기에 문 대통령이 참석할지 여부는 아직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7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며 “이번 방미를 백신 협력을 강화하고 백신 생산의 글로벌 허브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 등 한국의 중국 견제 동참 여부와 미국 제약사 입장에 따라 이번 회담에서 일괄적인 백신 성과를 얻기는 힘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재 백신 특허권을 쥔 글로벌 제약사들은 국제사회의 지식재산권 일시 면제 논의에 대해 크게 반발하는 상황이다. 바이든 대통령도 기자회견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자국 생산 백신을 영향력 확대의 지렛대로 활용하려 한다”며 “우리는 다른 나라의 호의를 얻고자 우리 백신을 사용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21일 백악관 일정을 마무리한 뒤 워싱턴 한국전쟁기념공원에 건립되는 한국전 전사자 추모의 벽 착공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22일에는 윌튼 그레고리 추기경을 면담하고 23일 귀국한다.


/윤경환 기자 ykh22@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