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정밀·두산퓨얼셀 등 '수소전문기업' 11곳 첫 지정

산업부, 연구개발·금융·판로 개척 등 우대 혜택
문승욱 "수소기업, 미국 등 선진시장 진출 지원"

산업통상자원부는 ‘수소 전문 기업’으로 유한정밀·두산퓨얼셀·지필롯 등 11개 기업을 처음 지정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 2월부터 시행된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수소법)’에 따라 지정된 수소 전문 기업은 총매출액 중 수소 관련 매출액 또는 연구개발(R&D) 등 투자액 비중이 일정 기준을 넘어선 기업이다.


정부는 모빌리티·연료전지·충전소·액화수소·수전해 등 수소 5대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매년 300억 원의 R&D를 수소 전문 기업 중심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또 수소 전문 기업의 우수 제품은 판로 개척을 위해 공공 조달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하고 수소 전문 기업에는 우대 금융도 제공한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일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수소차 연료전지 분리판 제조 기업인 유한정밀을 방문해 수소 연료전지 분리판 제작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사진 제공=산업통상자원부

유한정밀은 지난 10년에 걸쳐 자체 개발한 금형 기술을 활용해 수소차의 연료전지 핵심 부품인 분리판을 전량 공급 중이다. 가드넥은 수소차 연료전지에 쓰이는 전해질막 고정용 필름을 전량 공급하고 있다.


두산퓨얼셀·범한퓨얼셀·에스퓨얼셀·지필로스·하이에어코리아 등 연료전지 제조사들과 수소 개질기 등을 만드는 원일티앤아이, 수소 충전소 설계·구축 및 시험 설계를 하는 이엠솔루션·대하 등도 포함됐다.


정부는 지난해 7월 발표한 ‘수소 플러스 1000’ 프로젝트를 통해 오는 2040년까지 1,000개 수소 전문 기업을 육성하기로 한 바 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이날 충남 아산의 유한정밀을 방문해 11개 수소 기업들과 간담회를 열고 “수소 전문 기업들이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면서 “수소 관련 우리 기업이 미국 등 선진 시장에 진출하고 해외 기업과 협력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손철 기자 runiro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