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공협 첫 총회… 공연 제작자들 "아티스트·공연관계자 코로나19 백신 선제 접종을"

김형일 라이브네이션코리아 대표가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노들섬 라이브하우스에서 열린 음공협 총회에서 해외 사례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음공협

대중음악 공연 기획자들이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음공협) 총회에서 코로나19 시대 대중에 많이 노출된 아티스트나 공연 관계자들에 대한 선제적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음공협은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노들섬 라이브하우스에서 열린 1차 총회에서 ‘코로나19, 백신, 그리고 이후의 대중음악공연’을 주제로 세미나와 토론을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음공협은 코로나19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4월 발족했으며 페스티벌, 콘서트, 월드투어, 내한공연 등 대중음악공연 관련 업체 41개를 회원사로 뒀다.


음공협 측은 이번 총회에서 단체의 설립 취지와 그간 정부, 지자체와 코로나19 관련 정책에 대해 협의해 온 과정을 설명했다. 이어진 세미나에서는 팬데믹 속 해외 공연 업계의 공연 개최 사례, 해외 투어 공연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 등 개별 업체에서는 쉽게 알기 힘든 이슈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많은 제작자들은 대중에게 많이 노출된 아티스트들이나 공연 관계자들이 선제적으로 백신 접종해 산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코로나19가 잠잠해져도 공연할 곳이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 공연 제작사 대표는 “대형 공연장이 부족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KSPO DOME(구 체조경기장), 올림픽 주경기장 등이 공연계에 아무런 대책 없이 공사를 준비 중”이라고 지적했다. 공연장으로 등록되지 않은 곳에서 열린 공연이 지자체에 의해 취소된 경우가 있었다며 '비등록 공연장'에서 공연 개최에 대한 지자체의 일률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번 총회에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유정주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참석했다. 유 의원은 "대중음악공연 방역지침이 다른 공연과 다르고 발라드, 록, 댄스, 트로트 등 장르에 따라서도 일관적이지 못해 혼선을 겪고 있다"며 "현장에서 들은 의견을 방역당국과 논의해 대중음악공연이 점차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violator@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