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 알앤디 23.8조로 역대 최대 폭 증가…연구자 자유 연구 예산도 2조원 시대

지난해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결과
7만3,500여개 과제 예산 집행 대상
기초연구 활성화 등에 중점
수도권과 지방 알앤디 격차 해소도 나타나

이경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1일 오후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 과기정통부 중회의실에서 열린'제3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제공=과기부

/사진 제공=과기부


지난해 정부 연구개발(R&D) 총 집행액이 23조 8,803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5.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정부 R&D 집행액이 연 평균 7.2% 증가해 지난 정부의 연평균 증가율(4.0%) 대비 큰 폭으로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열린 제3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0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를 보고했다. 이 분석은 지난해 35개 부·처·청·위원회가 수행한 7만3,500여개 과제에 대한 예산 집행 현황을 토대로 진행됐다.


특히 R&D 예산 집행은 연구자 주도의 기초연구 활성화,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수도권과 지방의 R&D 격차 해소 등 주요 국정과제 방향과 비슷하게 이뤄졌다는 설명이다.




/사진 제공=과기부


연구자 주도로 자유롭게 주제와 범위를 설정해 연구하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의 예산 집행액은 지난해 2조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8.3% 증가했다. 또 과제당 평균 연구비도 전년 대비 10.8% 증가한 3억2,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연구책임자 1인당 평균 연구비는 3억9,700만원으로 전년대비 10.4% 늘어났다. 또 미래 연구자 양성을 위한 주요 지표인 신진 연구자(40세 이하)의 1인당 연구비가 1억5,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6.3% 늘어난 것도 눈에 띈다. 동시에 신진연구자 규모도 1만655명으로 1만명을 넘어섰다는 설명이다.


또 지방의 R&D 집행비중이 수도권을 추월해 지난해 지역별 집행규모에서 지방(대전 제외)은 8.9조원으로 전체의 39.6%를 차지했다. 지난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비중은 31.7%(7.2조원)이었다. 기초자치단체 상위 5개 지역을 살펴보면 대전 유성구가 6조 3,624억원으로 28.0%를 차지하였으며 이어 경남 사천시가 1조 1,763억원(5.2%), 경기 성남시가 5,986억원(2.6%), 경남 창원시가 5,379억원(2.4%), 세종특별자치시가 5,159억원(2.3%) 순으로 나타났다.


/정혜진 기자 madei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