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달러 높여잡은 유가예측치.. '에너지 인플레이션' 도래?

유가전문가 협의회, 올 유가 배럴당 64~69달러로 예상
지난해 예상한 40~56달러 대비 최대 29달러 높여 잡아




에너지 관련 연구기관들이 연평균 국제유가 예측 치를 반년 사이 20달러 이상 높여 잡았다. 글로벌 경기가 코로나19 영향 등에서 빠르게 회복하며 에너지 수요가 급등한 탓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국제금융센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S&P 플래츠 등은 23일 산업통상자원부 주재로 열린 ‘국제유가전문가협의회’에서 올해 연평균 국제유가 예측치를 배럴당 64∼69달러로 예상했다. 지난해 말 대다수 기관이 예측했던 배럴당 40∼56달러에서 대폭 상향 조정된 수치다.


이날 회의는 최근 국제유가가 2년만에 최고 수준인 배럴당 73달러까지 치솟는 등 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관련 사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참석 기관들은 상반기 국제유가가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및 비OPEC 산유국들로 이뤄진 OPEC 플러스(+)의 감산안 조정에 따른 공급 축소 외에 주요국 경기부양책, 달러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상승한 것으로 분석했다. 올 하반기에는 OPEC+의 증산 여부, 이란 핵 협상, 미 연방준비제도의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시행 등이 국제유가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참석기관 중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경우 올 3분기 두바이유 기준 평균 유가를 배럴당 68.51달러로, 4분기는 69.56달러로 각각 예상했다.


오정석 국제금융센터 부장은 “국제유가가 여름철 배럴당 80달러를 웃돌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 수급 여건으로는 1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은 작다”고 밝혔다. 유법민 산업부 자원산업정책관은 “코로나19 이후 석유 수요회복, OPEC+의 감산 합의 등 석유 시장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국제유가 상승 요인을 점검하고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양철민 기자 chopi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