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부산 숙원…물 문제 해결을 위한 첫 단추 끼웠다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서 제6회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본회의
안전한 먹는 물 마련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 본회의 통과
부산시, 지속가능한 상수원수 확보방안 마련 총력

1991년 낙동강 페놀 유출 사고 이후 30여 년 간 맑은 물을 요구했던 부산시민들의 염원에 첫 단추가 끼워졌다.


부산시는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부제 안전한 먹는 물을 위한 수질 개선과 취수원 다변화)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정부는 낙동강의 물 문제 해결하기 위해 연구용역 등을 거쳐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마련해 지난해 12월 위원회 안건으로 상정했다. 위원회는 5개월에 걸친 검토 끝에 이날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통합물관리방안은 2030년까지 낙동강 수질을 II등급 이상으로 개선하고 2028년까지 상·하류 취수원을 다변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먼저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구미 공공하수처리장과 대구의 성서 산단 공공폐수처리 시설 대상 과학적인 미량오염물질 관리방안 마련, 대규모 산업단지(150만㎡)에 완충 저류시설 7개소 추가 설치, 수질 자동측정망 10개 확충, 본류로 직접 방류되는 공공하수처리장에 대한 고도처리시설 추가 도입, 비점오염 및 가축분뇨 처리 강화, 총유기탄소(TOC) 수질오염 총량제 도입, 수변 공간 관리강화 등을 포함한다.



18일 부산시청 영상회의실에서 ‘맑은 낙동강·깨끗한 취수원확보를 위한 전문가·시민 간담회’가 열렸다./사진제공=부산시

아울러 먹는 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수질개선 노력과 함께 2028년까지 취수원 다변화 사업도 병행 추진한다.


이에 경남 합천의 황강 복류수 45만t, 창녕의 강변여과수 45만t 등 총 90만t을 개발해 경남 중동부에 48만t을 우선 공급하고 부산에 42만t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와 환경부는 부산에 필요한 95만t 중 나머지 53만t은 회동수원지 개량 10만t, 초고도 정수처리 43만t을 통해 안전한 수돗물을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시는 이른 시일 안에 지속가능한 상수원수 확보방안을 마련해 부산시민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로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필요로 하는 대체 수량만큼 가져오지 못해 아쉬운 점은 있으나 위원회의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 의결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에는 수자원을 공공재로 인식했지만 지금은 수자원도 지역민들의 소중한 자산이므로 부산이 물을 가져오려면 합리적인 보상체계가 필요하다”며 “지역 주민들도 이득이 되고 부산도 이득이 되도록 상생 방안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