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포스트 코로나, 상생 협력으로 돌파하자

곽수근 서울대 명예교수

곽수근 서울대 명예교수

자연 생태계의 오묘함은 많은 생물들이 상리공생 관계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상리공생 관계는 경제 생태계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한두 개의 대기업이 특정 산업을 성장시키고 생태계를 안정시키기는 어렵다. 경제 생태계가 건강하게 지속 발전해나가기 위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 협력을 통해 기술 혁신과 생산성 제고 등으로 상리공생의 관계를 견고하게 구축해야 하고 가장 밑단에서 생산과 소비의 주체로서 역할을 맡고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이 건강하게 버티고 있어야 한다.


코로나19로 정보통신과 같은 일부 업종은 호황을 누리고 있고 전통적인 산업과 소상공인들은 궁지에 몰렸다. 그래도 우리가 최악의 상황을 피하고 있는 것은 정부와 산업계가 힘을 합쳐 대처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은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제조 역량을 갖춘 대기업들은 스마트 공장 구축을 지원해 생산성을 높이거나 디지털화를 촉진함으로써 협력 기업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있다. 수출 중소기업들의 운송·물류를 지원하기 위해 낮은 운임의 특별 전세기를 운항하거나 해상 선박의 선적 공간을 마련하는 사례도 있다.


상생 협력 정책의 시발점은 대기업과 중기의 사업 영역을 구분해 ‘계열화와 보호’라는 관점에서 ‘상호 협력’으로 방향을 선회했던 지난 1995년 ‘기업간협력증진법’ 제정으로 볼 수 있다. 2006년에는 ‘상생협력법’으로 개편됐다. 이제 상생 협력은 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실천해야 할 필수적인 경영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경영 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요가 급증하면서 세상은 디지털 경제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급성장하는 온라인 플랫폼과 이를 활용하는 자영업자·소상공인 간의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또 내연기관 자동차 산업이 쇠퇴하고 전기차 시장이 열리면서 협력 기업들이 생존 위기에 몰리고 있다. 미래 세대에 지속 가능한 환경을 넘겨주기 위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라는 ESG 경영에 대한 요구도 개별 기업을 넘어서 공급망 전체로 확산하고 있다.


급변하는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차원의 상생 협력이 필요하다. 먼저 상생 협력을 통한 개방형 혁신의 성과가 대·중기 동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선순환 체계가 정립돼야 한다.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평가받는 거래 관계에서도 공정성이 담보돼야 한다. 상생 협력을 잘하는 기업이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인정받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도록 인센티브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온라인 플랫폼 성장으로 인한 갈등을 민간이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일방이 아닌 민관 협력을 통한 상생 협력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다. 자발적 상생 협력과 개방형 혁신 성장으로 우리 경제가 새롭게 도약하는 모습을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