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엔터·게임주 상승장서 두각...날개 달린 '놀이株'

KRX미디어&엔터 9.40% 상승...코스피 상승률 3배
하이브·엔터3사, 팬덤플랫폼 확장으로 기저실적 향상
CJ ENM·스튜디오드래곤 글로벌OTT향 콘텐츠 공급↑
게임株, 다수 신작 출시 예정 "하반기 주가 우상향할 것"


이달 코스피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이어가는 와중에 가장 두각을 나타낸 업종은 미디어·엔터주였다.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플랫폼의 성장세가 빨라진 가운데 올 연말 오프라인 콘텐츠까지 재개되면 큰 폭의 실적 상승을 이룰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6월 1일~6월 25일 기준) 가장 많이 상승한 업종 지수는 KRX미디어&엔터테인먼트로 3,590포인트에서 3,927.6포인트로 9.40%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은 3.09%였다. 한편 KRX철강(-0.33%)는 상승장에서도 유일하게 약세를 보였고 KRX운송(0.03%), KRX은행(0.10%), KRX증권(0.59%) 등도 기를 펴지 못했다.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는 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한 투자 본격화로 최근 주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 팬덤 플랫폼 확장을 통해 소속 아티스트의 활동이 수반되지 않더라도 팬 소통 서비스, 굿즈 판매, 온라인 팬미팅 등으로 기저 실적이 두터워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SM은 이달 들어 주가가 21.90% 급등했고 하이브도 같은 기간 주가가 20.31% 올랐다. 하이브와 YG는 ‘위버스’, SM과 JYP는 ‘버블’을 통한 팬덤 전문 플랫폼 확장을 꾀하고 있다. 올 하반기 콘텐츠 성수기를 앞두고 다수 아티스트들의 컴백이 예정돼 있어 오프라인 콘서트, 팬미팅 등이 재개되면 매출이 더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드라마 제작사들도 글로벌 플랫폼을 발판으로 매출을 늘려가고 있다. 아프리카TV(067160)도 최근 광고 콘텐츠 업황 개선에 힘입어 이달 들어 21% 가까이 올랐다.


게임주의 경우 미디어·엔터주 대비 주가 상승세가 상대적으로 악했지만 올 하반기 신작 출시가 줄줄이 예정돼있어 호재가 뚜렷하다는 평가다. 지난 22일 성종화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엔씨소프트(036570) 등도 상반기 저실적은 이미 주가에 선반영됐으며 신작 출시가 다수 예정돼 있어 상승 모멘텀이 충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강석오 흥국증권 연구원은 “게임 섹터의 경우 실적 성장이 나타나는 기업은 금리 인상과 상관없이 주가가 우상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