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 업계 최고 용량 스마트폰 MLCC 개발


삼성전기가 스마트폰용 초소형·초고용량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를 개발했다. 새로운 원자재를 독자 개발해 저장 용량을 높이고 안정성을 크게 개선한 제품으로 5G 시장을 적극 공략할 방침이다.


삼성전기는 1005크기(가로 1.0㎜, 세로 0.5㎜) MLCC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MLCC는 27마이크로패럿(uF) 전기를 저장할 수 있어 세계 최고용량을 구현했다. 1005크기는 0603크기와 함께 현재 스마트폰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MLCC다. 기존 1005 크기 MLCC의 최대 용량은 22uF였다. 회사는 이 제품을 다음 달부터 글로벌 스마트폰 회사로 공급할 계획이다.


MLCC는 전자 기기 회로에 전류가 안정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핵심 부품이다. 스마트폰, 가전제품, 자동차 등 관련 제품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특히 최근 전자 기기가 5G 통신, 멀티 카메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으로 고성능화되면서 MLCC 또한 초소형, 고용량 제품을 요구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기기 속 고성능 반도체는 소비전력이 높아 더 많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고용량 MLCC가 필요하다.


이번에 개발한 MLCC는 스마트폰 AP, GPU 등 고성능 반도체에 들어오는 신호잡음(노이즈)를 줄여 반도체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삼성전기는 동일 크기에 최대 용량을 구현하기 위해 원자재와 제조 공법을 차별화했다.


MLCC의 전기 저장용량을 높이려면 유전체층과 내부전극층을 더 많이 쌓아야 한다. 삼성전기는 업계에서 사용하는 원자재 파우더 중 가장 작은 크기인 50㎚의 파우더를 개발해 유전체층 두께를 기존보다 더 얇게 만들었다. 이를 통해 기존 제품보다 유전체층을 150층 이상 더 쌓아 저장용량을 높였다.


또 나노 단위 미립 파우더를 균일한 얇은 층으로 만들기 위한 초정밀 인쇄기술을 적용했다. 직류전압을 가했을 때 제품 용량이 감소하는 특성인 ‘직류(DC) 바이어스 특성’을 업계 최고 수준으로 구현해 스마트폰 수명과 작동 안정성을 크게 개선했다.


김두영 삼성전기 부사장은 “삼성전기는 핵심 원자재 자체개발, 차세대 설비공법 등 초격차 기술력과 생산 능력 강화로 고성능 MLCC 시장에서 선도적 지위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