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민선 7기 최고성과 ‘혁신도시, 원도심 부활’

허태정 시장, 30일 취임 3주년 브리핑 열어 “앞으로 지역경제 회복에 매진” 약속

허태정 대전시장이 30일 민선 7기 3주년을 맞아 시청 대회의실에서 정례브리핑을 갖고 있다. 사진제공=대전시

허태정 대전시장은 30일 7기 3주년을 맞아 시청 대회의실에서 정례브리핑을 갖고 “민선 7기 혁신도시 지정으로 원도심 부활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었던 것이 최고의 성과”라며 “앞으로 지역경제 회복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허 시장은 “지난 3년 대전의 대담한 도약을 위한 도전의 시기였고 시민 여러분과 땀 흘린 과정 속 의미 있는 많은 성과가 있었다”며 “특히 혁신도시 지정과 도심융합특구 선정을 통해 원도심 부활의 전기를 마련한데 이어 혁신도시와 도심융합특구를 전국적 모델로 세울 기틀을 세운 것이 최우선 성과”라고 평가했다.


허 시장은 “대전의 역세권은 주요 공공기관 이전을 포함한 혁신도시로서 대전만의 특화전략으로 원도심 재생형 대표모델이 될 것”이라며 “수도권 유수의 공공기관을 유치하고 산업, 주거, 문화 등이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고밀도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허 시장은 이어 “역세권 복합2구역 도시개발과 쪽방촌 도시재생 뉴딜사업 등 원도심에만 1만가구 이상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며 “제2의 판교밸리로 조성될 도심융합특구를 통해 수도권 기업들이 이전해오고 기술기반 창업이 붐을 이루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허 시장은 또 “온통대전 출시 이후 현재까지 가입자가 60만명을 돌파했고 소상공인 매출이전은 4,000억원, 생산유발 효과는 6,400억원에 달한다”며 “향후 온통대전의 정책적 기능을 강화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극대화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허 시장은 앞으로 일자리가 있어 청년이 꿈꿀 수 있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허 시장은 “대전시 청년세대의 비중은 특·광역시 중 가장 높지만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 양적·질적 고용창출이 낮다”며 “충남대와 KAIST와 연계해 스타트업파크, 팁스타운 등 조성을 완료해 선순환 기술창업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3년간 중소기업 고용 확대와 미스매치 해소 등으로 청년일자리 3만 848개를 창출했다”며 “오는 8월 사이언스콤플렉스 준공으로 3,000여개의 신규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허 시장은 “국내 최초로 조성되는 트램방식 도시철도 2호선은 5개 자치구 모두를 순환하는 노선”이라며 “트램 노선축을 관광자원화하고 공공서비스를 연계하는 도시재생의 거점으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 시장은 “특히 정부 공모사업인 K-바이오랩허브를 반드시 유치해 전국 최고의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완성하겠”며 “‘과학수도 대전’을 완성해 과학으로 잘 사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끝으로 허 시장은 “오는 11월까지 대전시민 70%인 123만명에게 코로나 백신을 차질없이 접종해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며 “이제는 지역경제 회복에 매진하고 새로운 변화에 대응해 대전의 미래 혁신성장을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