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 업계가 또 ‘노조 리스크’에 직면했다. 현대자동차 노조는 지난달 30일 임금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6~7일 찬반 투표를 통해 파업 돌입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기아 노조는 현대차보다 높은 수준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한국GM 노조도 쟁의권 확보를 위해 1일부터 쟁의행위 찬반 투표에 들어갔다. 이러다가는 완성차 3사가 ‘파업 쓰나미’에 휩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현대차는 올해 기본급 월 5만 원 인상(호봉 승급분 포함)과 성과급 100%+300만 원, 격려금 200만 원 등을 포함해 1인당 평균 1,114만 원 수준의 인상안을 노조에 제시했다. 기본급으로 따지면 2017년 이후 최대 규모의 인상 폭이고 성과급도 지난해의 4배 수준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반면 노조는 기본급 월 9만 9,000 원 인상(호봉 승급분 제외)과 정년 연장(최장 만 64세), 해고자 일괄 복직 등을 고집하고 있다. 지난해 임금 동결에 대한 보상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과도한 임금 인상과 정년 연장은 청년 일자리와도 직결돼 개별 회사 차원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요구다.
자동차 업계는 코로나19 여파에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현대차만 해도 상반기에 7만 대가량의 생산 차질 사태를 빚었다. 더욱이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100년 만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친환경차 생산을 늘리고 구조 조정에 나서는 등 치열한 생존경쟁을 벌이고 있다. 자동차 회사의 미래가 걸린 중요한 시점에 파업을 강행한다면 손실이 커지는 것은 물론 중장기 경쟁력마저 추락할 수 있다. 현대차 사측이 “지금은 투쟁이 아닌 미래 생존을 위한 경쟁에 대비할 때”라고 호소한 이유다. 자동차 노조는 눈앞의 이익에 급급해 미래 투자를 가로막아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