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31개 시·군 지역 상권분석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한다

경상원, 지역 맞춤형 상권플랫폼 구축 추진
31개 시군에 지역상권 데이터 무료 개방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정책 활용 유도

경상원이 주축이 돼 추진 중인 경기도 소상공인 종합지원 플랫폼 개요

경기도가 도내 31개 시·군 지역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을 위한 맞춤형 지역 상권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보유한 상권영향분석 데이터를 무료로 개방해 각 시·군이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정책에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핵심이다.


경상원은 지난 9일 경기도 수원켄벤션홀에서 31개 시·군의 빅데이터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시·군 상권분석 맞춤형 소상공인 지원정책 네트워크 구성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추진 계획을 공개했다. 이날 간담회의 경상원이 보유한 상권 정보 데이트를 이용해 시·군 지역상권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각 시·군이 소상공인 지원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나서자는 취지로 개최됐다. 경상원은 ▲경기도 31개 시·군내 존재하는 각 상가업소 리스트 ▲국토지리 정보(인구정보·건축물대장·개별공시지가·개별주택가격) ▲지역화폐 사용정보 등을 개방할 예정이다.



이홍우 경상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홍우 경상원장은 인사말에서 “이번 사업은 경기도 전체를 아우르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정책지원 사업"이라며 “경상원은 도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유능한 파트너로서 쉼없이 달리겠다”고 말했다.


이은주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장도 이날 행사에 참석해 “코로나19로 지역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이 긴 한숨을 토로하고 있다”면서 “소상공인을 위한 공공의 역할이 더욱 강화될 수있도록 의회도 도와 힘을 합쳐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빅데이터을 지역상권 분석에 활용 중인 3개 시(용인시·광주시·화성시)의 빅데이터 담당자들이 나와 사례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용인시는 빅데이터 혁신을 통한 데이터 기반 행정으로 관광상권 개발 등 혁신 행정을 펼치고 있다. 올해 전담인력 1명과 지원1인력 1명 등 총 2명으로 구성된 빅데이터 팀을 신설했다. 광주시는 스마트 시정 혁신을 위한 데이터 기반 행정으로 선제적 정책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기반 행정 조례 제정을 추진하고, 광주시 빅데이터 포털을 구축하고 있다. 화성시는 쳬게적인 데이터 기반 행정으로 공공서비스 질 향상을 높이고 있다. 스마트시티과 아래 6명으로 구성된 빅데이터 운영팀을 운영하고 있다.



김세준 용인시 빅데이터 전문관이 용인시의 빅데이터 활용 및 협업 사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세준 용인시 빅데이터 전문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관래 자영업·소상공인 정책지원에 필요한 세부 정보 부족으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었다”면서 “경상원이 도내 상권분석 데이터를 무료로 공유한다는 소식을 듣고 협의체에 참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전문관은 “경상원이 추진하는 사업과 연계해 수요자 중심에서 용인시민들이 필요한 정보를 개방하고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환철 화성시 빅데이터 팀장이 화성시의 빅데이터 활용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신환철 화성시 빅데이터팀장은 “코로나19 상황 장기화로 소상공인들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이들에 대한 지원정책을 추진할 때 대상자 선별과 지급 기준 등에 구체적인 데이터 행정의 필요성이 절실한 때”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파편화된 데이터로는 소상공인 지원 정책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경상원이 주도하는 지역상권 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이 안착되면 도내 시·군에서 행정을 펼 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황하수 광주시 정보통신담당관도 “도내 시군들이 현재 맞딱드린 가장 큰 문제는 가치 있는 데이터가 많지 않다는 점”이라며 “경상원과 협업해 광주시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포털 구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영 경기연구원 박사가 경기도 내 소상공인을 위한 빅데이터 수집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태영 경기연구원 박사는 “3개 시군 담당자들의 발표를 들어보면 공통점을 하나 발견할 수 있다”며 “바로 상권을 분석하고 싶은데, 양질의 데이터가 없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앙정부나 도 단위에서 지원 정책을 펼 때 주로 통계청 통계를 활용하지만 아쉽게도 그런 통계들은 광역단위까지 밖에 제공하지 않는다”면서 “각 시·군 단위에서는 지역에 밀접한 통계를 바탕으로 지원 정책을 만들고 싶어도 현실적으론 불가능하다"고 아쉬웠다. 김 연구원은 “경상원이 보유한 로우 데이터를 보면 굉장히 많은 자료들이 섞여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면서 “이들 통계를 잘 분류하고 엮으면 각 시군단위에서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을 위한 정책을 펼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만수 경상원 상권분석 빅데이터 TF팀장이 소상공인 정책지원 네트워크 구성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를 준비한 강만수 경상원 상권분석빅데이터 TF팀장은 “도내 소상공인 어려움을 해소를 위한 정책을 펼때 소상공인 관련 데이터가 부재하다보니 여전히 감에 의한 정책들이 많이 추진되고 있다”면서 “경기도 소상공인 종합지원 플랫폼 사업이 완성되면 데이터에 기반한 지역 밀착형 소상공인 지원 행정을 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서민우기자 ingaghi@lifejump.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