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량 공개도 안하면서…’ 中 통합배출권거래시장은 ‘스타트’

1톤당 52.78위안

스모그로 잔뜩 덮힌 중국 베이징의 모습. /EPA연합뉴스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운영에 들어갔다. 기존의 권역별 거래 방식을 바꾼 것이다. 다만 탄소배출량 공개도 없어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16일 관영 중국중앙방송(CCTV)에 따르면 중국은 이날 오전 상하이거래소에서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를 시작했다. 이날 전국 통합 시장 개장 직후 이뤄진 첫 거래에서 탄소배출권 가격은 1톤당 52.78위안(약 9,300원)으로 형성됐다. 중국은 조만간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소를 정식으로 설립할 계획이다.


자오잉민 중국 생태환경부 부부장(차관급)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 건설은 녹색 저탄소 발전을 추진하는 중요한 제도적 혁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 2016년 선전에서 첫 탄소배출권 거래를 시작한 이후 베이징, 상하이, 톈진, 광둥성, 후베이성, 충칭, 푸젠성 등 총 8개 지역에서 권역별 거래소를 따로 운영해왔다. 이날부터는 전체의 탄소배출권 거래가 상하이 한 곳에서 통합돼 진행되는 셈이다. 지난해 기준 권역별 탄소배출권 거래 가격은 베이징이 톤당 평균 91.81위안으로 가장 높았고 푸젠성이 톤당 17.34위안으로 가장 낮았다. 다른 6곳의 거래 가격은 톤당 20~40위안 선에 있었다.


중국 정부는 우선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에 자국의 발전 기업 2,225 곳을 참여시키고 향후 적용 업종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기업들은 중국 정부로부터 각자 탄소배출권을 배정받는데 감축 노력을 통해 탄소배출권이 남은 기업은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이 모자란 기업에 팔 수 있다.


중국이 이번에 탄소배출권 시장을 하나로 통합한 것은 탄소배출권 거래 활성화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기존 8개 탄소배출권 거래소의 누적 거래량은 4억5,500만톤, 거래금액은 105억5,000만위안이었다. 시장별로는 광둥이 56%를 차지하는 등 가장 많았고 이외에 후베이, 톈진, 상하이, 선전 등의 순이었다.


다만 중국의 비밀주의는 탄소배출에서도 그대로 드러나 문제라는 지적이다.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자국의 탄소배출량을 공개한 적은 없다. 겨우 내놓은 발표가 오는 2030년 탄소배출의 정점을 찍고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2030년까지는 계속 탄소배출량을 늘리겠다는 의미여서 각국의 반발을 사고 있다.


앞서 민간 연구기관 로디엄그룹에 따르면 중국은 2019년 전 세계 탄소 등 온실가스의 27%를 배출했다고 발표한바 있다. 이는 온실가스를 두 번째로 많이 배출한 미국(11%)의 약 2.5배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