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폭염에 7월 전력거래액 5조 돌파…전기요금 오르나

작년 동기 대비 21.1% 늘어
전력수요 증가·연료비 상승 영향
신재생 의존 높아져 인상 불가피

무더위 속 사흘째 전력 공급이 끊긴 경기도 부천시 한 아파트 단지의 주민들을 위해 시와 쿠팡 측이 지원한 냉매제. 지난달 30일 시와 소방 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아파트 단지 지하 변전실에서 난 화재로 12개 동에 전력 공급이 끊겼다./연합뉴스



중복이자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 특보가 발효된 지난달 21일 서울 중구 한국전력공사 서울본부 별관 로비에 설치된 모니터에 전력 수급 현황이 띄워져 있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예비력은 13.57GW, 예비율 15.7%를 기록했다./연합뉴스

난 7월 한 달간 전력 거래 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무려 9,000억 원가량 늘어 5조 원을 넘어섰다. 높은 전력 수요와 연료비 가격 상승 등이 맞물린 결과로 향후 발전설비 증설 및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정부가 오는 2034년까지 연평균 최대 전력증가율을 1.0%로 예상한 지 1년이 채 지나지 않았음에도 정부의 전력 수급 계획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9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7월 한 달간 전력 거래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21.1% 늘어난 5조 472억 원을 기록했다. 전력거래량은 전년 동월 대비 15.1% 증가한 504억 ㎾h를, 전력의 시장 단가를 뜻하는 계통한계가격(SMP) 또한 전년 대비 22.9% 늘어난 87원 54전/㎾h를 각각 기록했다.


전력 거래 요금 증가는 전력 수요 증가로 지난달 평균기온이 전년 동기 대비 3.5도 높은 26.2도를 기록한데다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멈춰섰던 일부 산업 설비가 가동되며 산업용 수요가 6.9% 증가했기 때문이다.




연료비 가격도 오름세다. 최근 액화천연가스(LNG)와 석탄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주요 연료의 G㎈당 열량 단가 또한 덩달아 높아졌다. LNG의 G㎈당 열량 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11.0% 상승한 5만 202원, 석탄의 열량 단가는 9.1% 늘어난 2만 5,713원, 유류의 열량 단가는 7.8% 증가한 7만 6,385원을 각각 기록했다. 최근 유가 상승 추이 등을 감안하면 이 같은 연료비 상승세는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수요 증가와 연료가 상승이 결국 전기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탄소 중립 정책을 위해 LNG와 석탄 발전 가동은 줄이는 반면 탈원전 정책은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라 결국 발전 단가가 높은 신재생 발전을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달 기준 태양광 1㎾h당 발전 단가는 91원 10전이며 여기에 태양광 사업자에 제공되는 보조금인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격까지 더할 경우 신재생의 발전 단가는 원자력(64원 30전)은 물론 유연탄(99원 90전), LNG(121원 20전) 대비 높다. 일각에서는 신재생에너지가 ‘규모의 경제’를 갖출 경우 발전 단가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지만 관련 송배전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비용과 기후 및 기온에 좌우되는 신재생의 발전 변동성까지 감안하면 경제성 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