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석유공사가 동해 대륙붕에 위치한 가스전 추가 개발 사업(방어 프로젝트)을 본격화하며 대한민국의 산유국 지위를 이어간다. 석유공사는 지난 2004년 7월 동해 가스전의 생산을 시작하며 우리나라를 세계 95번째 산유국의 반열에 올렸다.
이번에 석유공사가 개발을 본격화하는 울릉분지 6-1광구 내 방어 구조는 가스 매장량이 내년 6월 생산이 종료될 동해 가스전의 15배인 7억 배럴(원유 환산)로 추정된다. 지난해 개발계획 수립 당시보다 국제 유가가 50% 넘게 급등해 개발에 성공할 경우 수십조 원의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 석유공사는 시추를 마친 공간에 이산화탄소를 매립해 가스전 개발을 탄소 감축 사업으로 이끄는 혁신 모델에도 도전하고 있다.
석유공사는 10일 동해 가스전 북동쪽 44㎞ 심해 지역에 위치한 ‘방어 구조(울릉분지 6-1광구 중·동부지역)’에 대한 정밀 평가 작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올 6월 심해(수심 약 800m) 시추 작업을 시작한 지 두 달 만이다. 초기 분석 결과 방어 구조는 약 3.9Tcf(원유 환산 약 7억 배럴)의 가스와 경질유가 부존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동해 1·2 가스전에서 2004년 생산을 개시한 후 지금까지 생산한 약 4,500만 배럴의 15배에 달하는 규모다.
동해 가스전이 17년간 가스 공급만으로 2조 6,000억 원(530만 톤)의 수입 대체효과를 낸 바 있는 만큼 석유공사의 방어 프로젝트가 성공할 경우 최소 30조 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를 산유국의 지위에 올려놓은 동해 1·2 가스전 생산이 내년 6월 끝나게 돼 방어 구조 탐사·평가가 성과를 내야 산유국 지위를 지키면서 에너지 안보를 한층 강화할 수 있다.
석유공사는 한 공의 탐사 시추 성공률이 15% 안팎인 점을 고려해 이번 시추에 이어 유망 구조에 대한 탐사 및 시추를 추가 진행할 계획이다. 정부의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 방어 구조 개발권은 석유공사가 10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동해 ‘방어 구조’ 개발 사업이 고유가 상황에서 엄청난 경제적 잠재성을 갖고 있고 국내 대륙붕에서 유전 개발을 지속해 에너지 안보를 확립하는 의미도 크다”며 “좋은 성과를 낼 수 있게 공사의 모든 기술력과 역량을 쏟아붓고 있다”고 말했다.
석유공사는 방어 구조 내 자원 부존량이 추정치에 못 미칠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저장(CCS)’ 공간으로 적극 활용해 정부의 탄소 중립 계획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도 CCU를 오는 2050년 ‘탄소 중립(탄소 순배출을 제로화하는 것)’ 목표 달성의 주요 수단으로 상정해 석유공사가 CCU 부문을 선도하는 셈이다. 석유공사는 우선 방어 구조 개발 성공에 집중하면서 내년 종료될 동해 1·2 가스전의 지하 공간에 향후 30년간 매년 4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매입하는 프로젝트를 먼저 추진한다. 에너지 업계의 한 관계자는 “탄소 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CCS의 기술 비용이 매우 커 민간에서 먼저 나서기 어려운 현실”이라며 “자원 개발과 에너지 안보 강화, 탄소 중립 등 다방면에서 가치가 큰 석유공사의 대륙붕 개발을 정부가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