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현장에서] 실크로드의 불꽃, 투르크메니스탄

신성철 주투르크메니스탄대사
천연가스 매장 전세계 4위 주요국
'TAPI 프로젝트'로 수출 기대 커져
남아시아에 인프라 등 연계 노력도
韓 신북방과 맞물려…지원 모색할 때

신성철 주투르크메니스탄 대사

고대 실크로드 길을 따라 중국의 톈산산맥을 지나 중앙아시아를 여행하다 보면 12세기 세계 최대 규모 도시 중 하나인 오아시스 도시 ‘메르브’가 나온다. 이 도시를 지나 계속 서쪽으로 이동하면 투르크메니스탄의 수도인 ‘아시가바트’에 도달한다. 아시가바트에서 북쪽으로 300㎞ 떨어진 카라쿰사막에는 ‘꺼지지 않는 지옥의 불’이 있다. 이 거대한 불구덩이는 지난 1971년 소련의 지질학자들이 천연가스를 채굴하는 과정에서 지반이 붕괴해 생겼다. 구멍에서 나오는 유독가스를 없애기 위해 불을 붙였다가 50년이 지난 지금도 불이 꺼지지 않고 있다. 이 꺼지지 않는 불은 투르크메니스탄에 묻힌 방대한 가스 규모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인도로 1,680㎞에 걸쳐 가스관을 연결하는 사업을 TAPI(Turkmenistan-Afghanistan-Pakistan-India) 프로젝트라고 부른다. 이것이 실현되면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4위인 투르크메니스탄은 인구 15억 명의 남아시아로 가스를 수출할 수 있다. TAPI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지역은 19세기 러시아와 영국이 힘겨루기를 했던 ‘그레이트 게임’ 지역이다. 21세기인 지금도 TAPI 프로젝트를 둘러싸고 주변 강대국들 간 새로운 그레이트 게임이 벌어지고 있어 이 파워 다이내믹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TAPI 프로젝트는 아프가니스탄의 내정 불안에 따른 가스 공급 안정성 확보, 가스관 건설 자금 조달, 가스 공급을 둘러싼 강대국들의 이해관계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TAPI 프로젝트는 1990년대부터 시작됐다가 아프가니스탄 분쟁으로 한동안 논의가 중단됐다. 우여곡절 끝에 당사국들은 2008년 기본 협정을 체결하고 2018년까지 가스관을 완공하기로 합의했으나 아직 투르크메니스탄 구간의 공사만 끝난 상황이다.


미국이 ‘셰일 혁명’으로 에너지 수출국이 되면서 중동 에너지의 중요성이 감소했으나 중동은 여전히 미국의 에너지 정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TAPI 프로젝트는 미국이 관심을 갖고 있는 중동·중국·러시아의 에너지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사안이다. 세계 최대 에너지 소비국인 중국은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위해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확보해야 하며 투르크메니스탄은 전체 가스 수출량의 80%를 중국에 공급해왔다. 러시아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가스를 저렴하게 구입해 유럽으로 판매해왔으며 가스 가격 문제로 투르크메니스탄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따라서 투르크메니스탄이 파키스탄과 인도로 가스를 수출하게 된다면 중국은 가스 구매를 위해 이들과 경쟁해야 하며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2위인 이란도 가스 판매 시장에서 투르크메니스탄과 경쟁해야 한다.


내륙에 고립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물류·에너지·전력·통신 등 자국 인프라 시설을 남아시아로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구상을 한다.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으로 송전선을 연결하는 사업이나 우즈베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철도를 연결하는 사업 등은 지역 경제 발전과 아프가니스탄 재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 기업들도 그간 중앙아시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수주 활동과 시장 개척 활동 등을 활발히 해왔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이런 남아시아 지역과의 인프라 연계 노력은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신북방 정책과 함께할 수 있어 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물론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재집권으로 미국이 TAPI 프로젝트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다만 아프가니스탄에서 다시 정권을 잡은 탈레반도 이 프로젝트를 반대하지 않아 장기적으로 TAPI 프로젝트는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