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에도 이어진 車반도체 수급난...현대차 해외 판매 7.8%↓

현대차 8월 내수 5만1,034대, 해외 24만3,557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내수 6.5%·해외 7.8% 감소한 수치
르노삼성·쌍용자동차·한국GM도 판매량 뒷걸음질
하계 휴가로 조업일수 줄고 車 반도체 부족 등 원인

현대차 그랜저 IG 르블랑 크리미 화이트 펄 색상./사진제공=현대차


완성차업계가 8월에도 자동차 반도체 수급난으로 판매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계 휴가로 조업일수가 줄어든데다 부품이 부족해 고객 인도일이 늦어졌기 때문이다.


1일 현대자동차는 8월 국내 5만1,034대, 해외 24만3,557대 등 전년 동월 대비 7.6% 감소한 29만 4,591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내수는 6.5%, 해외 판매는 7.8% 감소한 수치다.


내수 판매를 차종 별로 살펴보면 그랜저가 3,685대, 쏘나타 4,686대, 아반떼 4,447대 등 총 1만 2,840대가 팔렸다. 레저용 차량(RV)은 팰리세이드 4,011대, 싼타페 3,322대, 투싼 3,821대, 아이오닉5 3,337대 등 총 1만 6,894대가 팔렸다. 포터는 7,424대, 스타리아는 3,563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2,006대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3,718대, GV70 2,575대, GV80 1,231대 등 총 8,307대가 팔렸다.


해외시장에서는 전년 동월 대비 7.8% 감소한 24만 3,557대를 판매했다.


현대차(005380) 관계자는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 위기 상황 지속에 대응해 각 권역별로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 노력을 이어가겠다”며 “주요 신차들의 성공적인 글로벌 판매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쌍용자동차는 지난 8월 글로벌 시장에서 총 7,735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3.9% 감소했다. 하계 휴가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등이 영향을 미쳤다.


내수 판매는 4,861대, 해외 판매는 2,874대를 기록했다. 내수 판매량은 더 뉴 렉스턴 스포츠&칸 판매 호조에도 반도체 등 부품 공급 차질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8.4% 줄었다.


다만 올해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오고 있는 수출이 지난해 8월보다 2배(132.7%) 늘며 내수 감소분을 상쇄했다. 수출은 올해 1~8월 누계 기준으로 80.1% 증가하는 등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쌍용차 관계자는 “더 뉴 렉스턴 스포츠&칸은 지난 4월 출시 이후 현재까지 1만1,000여대가 판매되는 등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칠레, 호주, 뉴질랜드 등 주요 해외 시장의 잇따른 출시로 수출 증가세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지엠주식회사(한국지엠)는 8월 1만6,616대(내수 4,745대, 수출 11,871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한국지엠 역시 내수와 수출 판매 모두 차량용 반도체 칩 공급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로 전반적인 감소세를 기록했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는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총 2,089대 판매되며 전년 동월 대비 17.4% 증가세를 기록했다.


쉐보레 콜로라도는 8월 한달간 내수 시장에서 총 689대가 판매돼 전년 동월 대비 617.7% 증가하며 올해 들어 월 최대 판매를 기록, 두달 연속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지난 8월 전년 동기 대비 16.8% 증가한 8,846대 판매를 기록했다. 수출은 4,242대로 전년 동기 대비 189.4% 증가했지만 내수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24.6% 감소한 4,604대를 판매했다.


9월 전체 판매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주력 차량은 XM3였다. XM3는 내수와 수출 시장 모두에서 꾸준한 인기를 얻으며 8월 전체 판매 대수의 53%인 총 4,658대(내수 1,114대 수출 3,544대)가 판매되었다. 특히 유럽 현지에서 우수한 품질과 상품성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올해까지 총 2만8,712대가 수출되었다.


내수 차량의 경우 반도체 부품 공급 차질 문제로 생산 물량이 고객 계약 수요에 미치지 못 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계약 후 출고 대기 고객이 900명이다. 르노삼성 측은 하반기 반도체 부품 등 부품 공급 상황이 안정화되면 연말까지 지속적인 내수 판매 증가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