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증가에도 은행권 건전성 개선

금감원, 은행권 6월 말 BIS비율 발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도 은행권의 건전성 지표인 자본비율이 개선됐다. 케이뱅크만 대출 확대로 자산이 늘어 자본비율이 규제 수준까지 하락했다.


금융감독원은 6월 말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이 13.15%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기본자본비율과 총자본비율은 각각 14.29%, 15.65%였다. 1분기와 비교해 각각 0.27%포인트, 0.34%포인트, 0.29%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BIS비율의 개선은 대출자산 등 위험가중자산이 3월 말보다 40조6,000억 원 증가했으나 순이익 확대, 증자,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으로 총자본이 12조 원 늘어난 데서 비롯됐다. 실제로 산업은행이 6,000억 원, 기업은행이 2,000억 원 수출입은행 500억 원의 증자를 단행했다.


은행·지주사별 총자본비율은 모든 국내 은행이 규제비율(10.5%)을 웃돌았다. 신한금융이 16.53%, 하나금융이 16.54%, KB금융이 16.03%, 우리금융이 13.75%, NH농협금융이 15.27%였다. 특히 BNK금융지주는 지난 2분기에 내부등급법 승인을 받아 위험가중자산 규모가 크게 감소해 자본비율이 3월 말 12.42%에서 14.21%로 대폭 상승했다.


다만 케이뱅크, 씨티은행, DGB지주, KB금융은 3월 말보다 총자본비율이 하락했다. 대출 등 위험가중자산이 자본보다 더 증가하면서다. 이 가운데 케이뱅크는 같은 기간 14.20%에서 10.91%로 3.29%포인트 급락해 규제 비율 수준까지 내려앉았다. 지난달 말 1조2,5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가 마무리됨에 따라 이후 자본비율은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6월 말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코로나19 장기화에도 순이익 시현 등으로 상승세 지속했다”며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공급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전한 자본관리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