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고용 실망감에…다우 0.21% 하락 마감[데일리 국제금융시장]

미 일자리 23.5만개 증가…전망치 절반도 못미쳐
나스닥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 경신…S&P는 보합

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

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시는 8월 미 고용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면서 혼조세를 보였다. 나스닥지수는 전날에 이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나스닥과 함께 전날 사상 최고치였던 S&P500지수는 보합세를 보였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74.73포인트(0.21%) 내린 35,369.09로 장을 마쳤고 S&P 500지수도 1.52포인트(0.03%) 하락한 4,535.43로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는 32.34포인트(0.21%) 올라 15,363.52였다.


앞서 이날 미 노동부는 8월 비농업 일자리가 23만5,000개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는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73만3,000개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7월 고용은 94만3,000명에서 105만3,000명으로 수정됐고, 6월 고용은 93만8,000명에서 96만2,000명으로 상향 조정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의 여파가 지표에 반영되면서 팬데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보다 더 클 것이라는 우려를 보였다.


국채금리는 이날 지표 부진에도 오름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반영했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미 실업률은 5.2%로 월가의 예상치와 같았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달에 비해 0.56% 상승했다. 이는 예상치 0.3%의 두 배 수준으로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언급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 수석 고문은 이날 SNS를 통해 고용 지표가 매우 실망스러웠다고 밝히며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더 많은 얘기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고용 부진으로 테이퍼링 발표 시점도 미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고용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어야 테이퍼링을 단행할 수 있다고 밝혀왔다. 이 때문에 당장 9월 테이퍼링 발표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계획 발표가 11월 이후로 연기될 것이라는 전망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