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환매 중단' 장하원 디스커버리운용 대표에 중징계

지난 2월 '중징계' 의결...조만간 금융위서 징계 결정할 듯


2,500억 원대의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를 빚은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은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장 대표는 장하성 주중 한국대사의 친동생이다.


8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는 지난 2월 장 대표에 대해 ‘직무 정지’를 의결했다. 장 대표가 신의성실의무를 지키지 않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안건은 현재 금융위원회에서 심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디스커버리운용에 대해서도 ‘영업 정지’를 건의했다.


금융사 임원에 대한 제재 수위는 △해임 권고 △직무 정지 △문책 경고 △주의적 경고 △주의로 나뉜다. 이 중 문책 경고 이상부터 중징계로 본다. 징계 수위는 증권선물위원회와 금융위 정례회의를 거쳐 확정된다. 금감원 안대로 징계안이 결정될 경우 장 대표는 향후 4년간 금융기관 임원으로 선임될 수 없다. 디스커버리운용은 미국 자산운용사인 다이렉트랜딩인베스트먼트(DLI)의 미국 소상공인 대출채권 펀드 등에 재간접으로 투자하는 사모펀드를 조성했다. 이 펀드는 2017~2019년 기업은행·하나은행·한국투자증권 등에서 수천억 원이 팔렸다. 그러나 2019년 DLI가 수익률을 허위 보고한 사실 등이 드러나고 법정 관리에 들어가면서 디스커버리펀드는 환매가 중단됐다. 이로 인해 묶인 돈은 총 2,562억 원에 달한다.


디스커버리펀드 관련 수사도 진행 중이다. 앞서 경찰은 장 대표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출국 금지 조치했다. 장 대표는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 한국대사의 동생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