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1% "빅테크 기업 규제 적절하다" vs. "과도하다" 35%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
대전·세종·충청서 '적절한 조치' 59% 가장 높아
30대 '적절한 조치' 64%...'과도하다' 2배 수준
성향 따라 차이 커...국힘 지지 61%는 '과도하다'

네이버 등 빅테크 기업 규제 공감도 조사/자료=리얼미터

국민 절반가량은 빅테크 기업 규제가 적절한 조치라는 의견에 공감하는 것으로 13일 나타났다.


YTN 의뢰로 리얼미터가 지난 10일 전국 만 18세 이상 500명을 대상으로 네이버와 카카오 등 빅 테크 기업 규제에 대한 공감도를 조사한 결과, ‘무분별한 사업 확장을 막기 위한 적절한 조치라 생각한다’는 응답은 51.0%로 과반을 넘겼다. ‘기업 활동을 제약하는 과도한 규제라 생각한다’는 주장은 35.3%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은 13.7%였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대전·세종·충청에서 ‘적절한 조치’라는 응답은 5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도한 조치’라는 의견은 34.7%였다. 부산·울산·경남에서도 ‘적절한 조치’라는 응답이 57.7%로 ‘과도한 규제’(26.7%)라는 응답보다 크게 높았다. 이어 서울(54.0% vs. 36.6%), 대구·경북(50.2% vs. 31.1%)에서도 규제 강화에 공감하는 응답이 50%대를 기록했다.


광주·전라에서는 ‘적절한 조치’(50.9%)라는 의견이 ‘과도한 규제’(24.7%)라는 의견보다 높게 나타나지만, ‘잘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응답이 24.4%로 전체 평균인 13.7%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인천·경기에서는 ‘적절하다’는 의견이 45.9%, ‘과도하다’는 의견은 42.9%로 팽팽하게 집계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는 ‘적절한 조치’라는 의견이 64.3%로 ‘과도한 규제’(27.7%)라는 의견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40대(59.9% vs. 37.1%), 50대(54.7% vs. 34.0%)에서도 ‘적절한 조치’ 의견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반면, 만 18~29세(47.6% vs. 41.6%)와 60대(42.7% vs. 38.4%)에서는 오차범위 내로 팽팽하게 의견이 갈렸다. 70세 이상에서는 ‘적절한 조치’ 31.6% vs. ‘과도한 규제’ 31.6%였으나 동시에 ‘잘 모르겠다’라는 36.8%로 3명 중 1명은 유보적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과 지지하는 정당별로 살펴보면, 진보성향자와 민주당 지지자에서는 ‘적절한 조치’ 주장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각각 70.8%, 82.8%로 전체 평균 51.0%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중도성향자와 무당층에서도 절반 이상(55.2%, 54.2%)이 적절한 조치라는 주장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수성향자와 국민의힘 지지자에서는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과도한 규제’ 주장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10명 중 6명 정도인 60.5%, 60.9%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