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 ‘전랑 외교’ 두둔한 외교 수장의 궤도 이탈

유엔총회 기간에 미국 뉴욕을 방문한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과도하게 중국을 두둔하는 발언을 쏟아내 논란을 빚고 있다. 정 장관은 22일 미국외교협회(CFR) 초청 대담회에서 “중국이 최근 국제사회에서 공세적(assertive)인 모습을 보인다”는 파리드 자카리아 CNN 앵커의 지적에 “경제적으로 더욱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당연하다. 20년 전 중국이 아니다”라고 비호했다. 그는 또 미국과 한국·일본·호주를 ‘반(反)중국’ 국가 블록으로 규정하자 “냉전 시대의 사고방식”이라고 반박했다. 나아가 “중국은 가장 중요한 경제 파트너”라며 철 지난 ‘안미경중(安美經中)’ 주장을 되풀이했다. 공세적이라는 단어는 미국 당국자들이 중국의 일방적인 외교정책을 비판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정 장관의 발언은 ‘전략적 모호성’에서 한발 더 나아가 상대방을 윽박질러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늑대 외교’, 즉 ‘전랑(戰狼) 외교’를 펼치는 중국을 노골적으로 편든 것이나 다름없다. 전날 “(미국이) 냉전식 제로섬 게임을 하고 있다”고 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유엔총회 연설과도 같은 맥락이다. 중국이 인권·시장·법치를 무시하고 팽창 외교를 벌여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는 현실을 외면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친중 외교 노선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셈이다.


내년 2월 베이징 올림픽 전후 남북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중국의 역할을 염두에 뒀다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에 대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제재를 푸는 데 중국이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이 임기 말 종전 선언을 다시 꺼내 주최자로 중국까지 넣은 것도 같은 의도라는 얘기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3일 한 방송에서 남북 정상 회동과 관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했다. 정부는 대선 이벤트에 집착해 김정은 정권의 노림수에 말려들 게 아니라 민주주의를 존중하는 가치 동맹으로 중심을 잡고 교역·투자의 중국 의존도를 대폭 줄여가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