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연일 가계 부채 급증에 대한 경고를 쏟아내면서 오는 12일로 예정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추가 금리 인상을 결정할지 주목된다. 금융계에서는 11월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지만 당국의 가계 부채 관리 대책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인상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레 제기된다. 다만 생산·소비·투자 등 실물 경기 위축과 국내외 증시 폭락은 금통위의 금리 인상 결정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12일 금통위 통화정책 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앞서 금통위는 지난 8월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0.75%로 0.25%포인트 인상한 바 있다.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올린 것은 2018년 11월 이후 33개월 만에 처음이었다. 자산 가격 거품과 가계 부채 급증 등 금융 불균형 상태가 심각한 데다 인플레이션 우려까지 커지자 한은은 당초 예상보다 한발 앞서 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당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최근의 금리 수준은 여전히 완화적”이라며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후 서영경 한은 금통위원도 지난달 29일 세미나에서 “8월 금리 인상에도 현재의 통화정책 상황은 여전히 완화적”이라며 “점진적 금리 인상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말해 연내 추가 인상론에 힘을 실었다.
여기에 지난달 30일 재정·통화·금융 당국 수장이 모인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가계 부채의 빠른 증가 속도가 실물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 만큼 일각에서는 금통위가 당초 예상보다 한 달 앞당긴 10월에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올 2분기 가계 부채는 1,805조 9,000억 원으로 1년 새 10% 넘게 증가한 상태다. 금융위원회가 이달 중순 가계 부채 관리 대책 발표를 예고한 만큼 통화 당국도 금리 인상을 통해 보조를 맞추지 않겠느냐는 관측에서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확장 재정 상황에서 금리로 유동성을 조정하려면 연속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며 “10월과 내년 1분기에 걸쳐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실물 경기 위축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은 10월 인상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산업 활동 동향에 따르면 생산과 소비·투자지수가 모두 감소하며 경기회복에 대한 우려까지 높아지는 상황이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주까지만 해도 10월 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였지만 이번 주 들어 국내 증시를 포함한 글로벌 금융시장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금통위가 금리를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은 핵심 관계자도 10월보다는 11월 인상 가능성을 예상했다. 이 경우 10월 금통위에서는 금리를 동결한 뒤 11월 25일 회의에서 인상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