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이번엔 금융기관 대출 전방위 조사…기업 자금경색 우려 커진다

習 지시로 중앙기율위 직접 나서
기업 유착관계 등 샅샅이 훑기로
헝다·디디추싱 거래銀 타깃될 듯

헝다그룹의 상하이 본사 건물 전경. /AFP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빅테크와 부동산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이번에는 이들 기업과 금융기관 간 유착 관계 조사에 돌입했다. 금융기관의 기업 대출이 줄면서 자금 경색이 한층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 소식통을 인용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지시로 중국 내 최고 반부패 조사 기관인 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가 이달부터 금융기관의 대출과 투자 등 기업과의 거래 관계를 전방위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조사 대상은 개별 금융기관과 함께 금융 감독 당국을 망라하며 이는 시 주석 집권 이래 가장 광범위한 조사라고 WSJ는 전했다.


이에 따라 최근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부동산 개발 업체 헝다를 비롯해 차량 호출 서비스 업체 디디추싱, 알리페이 운영사 앤트그룹 등과의 거래 관계가 집중 타깃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산당 중앙기율위가 직접 나섰다는 것은 그만큼 강도가 세질 것을 시사한다. 정치국 상무위원이기도 한 자오러지 중앙기율위 서기는 지난달 26일 이와 관련한 회의에서 “어떠한 정치적 일탈도 철저히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중국 금융기관은 거의 대부분 국유로, 특히 지방정부 당국자의 통제 아래 있다. 이들은 경제성장 목표 달성 등 치적이나 친분을 이유로 민간 기업에 규정 이상의 대출을 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부당 대출을 문제 삼는 것은 ‘사후 책임 묻기’ 식이 될 수밖에 없다. 결국 금융기관에 대한 사정 강화는 기업 대출을 더 줄이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심각한 신용 경색과 경기둔화가 한층 가팔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마이클 페티스 베이징대 금융학과 교수는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대응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하던 일을 중단하는 것”이라며 “‘나쁜’ 대출이 없다면 성장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헝다그룹이 12일 다시 1억 4,800만 달러(약 1,800억 원)의 채권이자 지급 만기를 맞았지만 지급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헝다의 디폴트(채무 불이행) 우려는 한층 커졌다.


헝다는 앞서 지난달 23일과 29일 두 차례의 채권이자 상환도 미루고 침묵한 바 있다. 또 지불 유예 시한이 이달 23일로 다가와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