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 일상회복' 앞당겨질까…접종완료율 조기 달성 가능성

접종완료율 70% 목표, 이달 23일 이전 달성 가능성
사적모임 8명으로 완화·다중시설 영업 연장 등 논의

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 오르체홀에서 열린 단계적 일상회복 관련 공개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존 ‘단계적 일상회복’ 방역 체계 전환 일정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3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방역 체계 전환의 기준이 되는 '전 국민 접종완료율 70%' 목표가 정부가 예상한 이달 23일보다 조기에 달성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오는 23일에 목표치를 달성할 경우, 항체 형성 기간을 고려해 2주 후인 내달 7~8일께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다만 내부적으로는 조만간 '전 국민 70% 접종 완료' 목표 달성이 예상되는 만큼, 더 기다릴 필요 없이 빠르게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넘어가야 한다는 의견과, 접종률을 70% 수준보다 더 끌어올려야 한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접종완료율 외에도 '위드(with) 코로나'의 핵심 대책인 재택 치료 시스템의 준비 상황과 접촉자에 대한 역학조사 역량 보완 방안 등도 함께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3일 오전 서울역 선별검사소 모습. 전날 오후 9시까지 전국 확진자 수는 1,471명이다. 정부는 15일 마지막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이에 따라 오는 15일 발표될 일상회복 전 마지막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이 적용되는 기간에도 다소 변동이 생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날 '방역체계 전환 전 마지막 조정안'이라는 정부의 언급을 고려할 때 현행 2주 간격이 아닌 최소 3주 이상 적용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전체 일정이 앞당겨질 경우에는 3주 미만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정부는 11월 초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을 예고한 상황에서 향후 2~3주가 사실상 단계적 일상회복의 '1단계'라고 보고, 현행 거리두기 조치를 일부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수도권에서 접종 완료자를 포함해 최대 6인까지로 제한된 사적모임 인원을 8인으로 늘리고, 식당·카페 영업시간도 현행 오후 10시에서 자정까지 연장하는 조치 등이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체계 전환 직전 마지막 거리두기 조치인 만큼, 유행 상황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이 같은 완화 조치에 반대하는 의견도 방역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거리두기 조정안은 하루 뒤인 14일 오후에 열릴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 회의에서 구체화할 예정이며, 15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을 통해 발표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