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런 "美노동시장, 코로나 이전보다 상당히 침체…육아부담이 원인"

10월 미국경제활동참가율 61.6%
지난해 실직 600만명 복귀 못해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로이터연합뉴스

재닛 옐런(사진) 미국 재무장관이 미국의 최근 노동시장 참여 수준이 코로나19 대유행 이전과 비교해 ‘상당히 침체(quite depressed)’해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 12일(현지 시간) 옐런 장관은 미국 CBS와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의 직접적인 결과가 노동력 부족”이라고 말했다.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10월 미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1.6%로 코로나19 사태 직후인 60.2%보다는 높지만 그 이전인 2019년(63%)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4월 실직한 600만 명 이상의 미국인들이 여전히 노동시장에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코로나19 이전에는 60%에 육박했지만 최근에는 57%대에 머물러 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15~64세 인구 중 일을 하거나 구직 활동을 하는 사람의 비율을 의미한다. 일하는 사람은 물론 일을 하려는 사람이 적어졌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옐런 장관은 노동시장의 공급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이유 중 하나로 육아 문제를 꼽았다. 그는 “(육아 문제) 또한 노동력 공급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이후 양육 시설이나 교육기관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부족해지면서 아이를 맡길 수 없는 부모들이 직장으로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만 그는 “우리가 코로나19 상황을 제대로 통제하면 노동 공급은 정상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