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올해 말라리아 발생 지난해보다 20.6% 감소

코로나19로 인한 야외활동 감소·모기 개체수 감소 등 영향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10월 말 기준 도내 말라리아 환자 수가 177명으로 지난해 223명보다 20.6% 감소했다고 16일 밝혔다.


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도내 말라리아 환자 수는 2018년 325명, 2019년 294명 등 매년 줄고 있다.


연구원은 말라리아 환자 감소 원인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야외활동 감소로 매개모기와의 접촉 빈도가 줄어든 점, 7월 짧은 장마 뒤 폭염 지속으로 서식 환경이 나빠져 매개모기 개체 수가 감소한 점 등을 지목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파주, 김포, 고양, 동두천, 의정부, 포천, 연천 등 7개 시·군에서 주 1회 매기모기 조사를 한 결과 말라리아 매개모기 모기지수(하루 채집되는 모기 개체 수의 기댓값)는 올해 0.74로 지난해 0.89 대비 16.9% 감소했다. 전체 모기지수 역시 올해 3.38로 지난해 4.97 대비 32.0% 줄었다.


말라리아는 ‘얼룩날개모기’류에 속하는 암컷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고열, 오한, 두통,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심하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제3급 법정 감염병이다. 국내에서는 말라리아 감염이 휴전선 접경 지역인 경기·강원 북부, 인천 등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