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졸 청년의 취업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31위에 그칠 정도로 저조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OECD 국가 청년(25∼3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과 고용 지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대졸 청년 고용률이 75.2%로 31위에 머물렀다고 18일 밝혔다. 청년 대졸자의 비경제활동인구(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으로 일할 능력은 있어도 일할 의사가 없거나 아예 일할 능력이 없는 사람) 비율은 20.3%로 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높았다. 지난해 청년 대졸자 비경제활동인구의 주된 활동 상태를 살펴보면 10명 중 3명은 취업준비생이며 10명 중 2명은 그냥 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대졸 청년의 취업이 지연되는 이유 중 하나로 전공과 일자리의 ‘미스매치’를 지적했다. 우리나라의 전공과 직업 간 불일치율은 50.0%로 OECD 22개국 중 1위다. 올해 통계청 조사에서도 일자리와 전공과의 불일치율은 52.3%로 취업자의 절반 이상은 전공과 무관한 일자리에 취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전공과 직업의 미스매치가 심한 배경으로는 대학 정원 규제가 꼽힌다. 미국 스탠퍼드대의 컴퓨터공학과 정원은 지난 2008년 141명에서 지난해 745명까지 5배 넘게 증원됐지만 우리나라는 서울대의 경우 55명에서 70명으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는 것이다. 이에 한경연은 대학 정원 규제를 완화해 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학력을 요구하는 일자리 증가 속도가 대졸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시장의 수급 불균형 문제도 지적됐다.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대졸자가 연평균 3.0% 증가한 데 반해 고학력 일자리는 1.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기존 일자리가 감소하고 있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생산 시스템이 고도화되면서 전 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2010년 13.8명에서 2019년 10.1명으로 줄었으며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7.86명에서 6.25명으로 감소했다.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재화 10억 원을 생산하기 위해 발생하는 직간접적인 취업자 수를 말한다.
한경연은 특히 우리나라의 경직적인 노동시장 구조도 청년들의 신규 채용을 저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세계경제포럼(WEF) 노동시장 경쟁력 순위가 141개국 중 97위에 그칠 만큼 경직성이 높아 기업의 청년 신규 채용을 위축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 청년들의 교육 수준은 최고 수준이지만 인적 자원이 비효율적으로 배분되고 있다”며 “대학 정원 규제 완화, 대학 교육 경쟁력 강화를 통해 전공·직업 간 미스매치 해소에 힘쓰는 한편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로 청년들의 취업 진입 장벽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