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월패드 해킹 사실이었나…경찰, 수사 착수

과기정통부 “홈네트워크 해킹 가능성…주의 요구”
실제 아파트 내부 영상 유출 여부 조사중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경찰이 일부 아파트에서 월패드의 해킹으로 사생활을 촬영한 영상이 유출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에 착수했다고 25일 밝혔다. 월패드는 아파트 등의 각 가정에 인터폰 형태로 벽에 설치된 기기로, 과거 인터폰에서 한층 더 발전돼 최근엔 도어락과 조명, 난방, 가전 등 가정 내에서 IoT(사물인터넷) 기기를 조작하거나 외부 방문자 등을 확인할 때 쓰는 스마트 기기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월패드 해킹 아파트 명단’이라는 제목으로 전국의 몇몇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언급되기도 했다. 또 아파트 내부 촬영 영상이 높은 금액에 거래되고 있다는 이야기도 함께 확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마트홈 기기 해킹을 통한 영상 유출이 우려된다며 홈 네트워크 기기 제조기업과 공동주택 관리소, 이용자 등이 주의를 당부했다. /과기정통부 제공

해커들에 의해 실시간으로 찍힌 사생활 영상은 다크웹 등에 판매까지 된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최근 스마트홈 기기 해킹을 통한 영상 유출이 우려된다며 홈 네트워크 기기 제조기업과 공동주택 관리소, 이용자 등이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은 명단에 오른 공동주택 700여 곳 중 일부에서 실제로 해킹의 흔적을 확인했고 정확한 피해 규모를 확인하고 있다. 경찰은 현재 입건 전 조사 단계이며, 영상 유출과 유통 사실 등 세부 내용이 확인되는 대로 정보통신망법 위반과 불법 촬영 혐의를 적용해 해커들을 검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