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차 작가 A 씨는 자신의 작품이 해외 한 지역의 불법 웹툰 사이트를 통해 무단 유통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사이트 관리자에게 항의했다. 하지만 관리자는 "당신 작품을 우리 언어권에 홍보해 주는 것인데 오히려 감사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역성을 냈다. A 씨는 "불법유통은 도둑질”이라는 취지의 글을 사회관게망(SNS)에 올렸지만, 오히려 불법유통으로 작품을 보던 해외 독자들이 SNS로 몰려와 각종 비난글을 올리는 등 A 씨를 향한 공격을 퍼부었다. 다음 시즌을 준비 중이던 A 씨는 이 일로 큰 충격을 받았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K웹툰이 인기를 끌자 불법으로 웹툰을 유통하는 사례가 늘어나며 작가들은 물론 웹툰 업계의 피해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웹툰 업계와 작가들이 정부와 공조해 단속하고 불법 유통업자를 색출해 법적 대응까지 하고 있지만, 갈수록 교묘해지는 범행 수법과 국경을 넘나든다는 특성 때문에 좀처럼 뿌리가 뽑히지 않고 있다. 웹툰 불법 유통은 작가들의 창작 의지를 꺾고, 질 낮은 콘텐츠를 양산하는 등 웹툰 생태계를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지적된다. 결국 국내 플랫폼사들이 똘똘 뭉쳐 이용자들에게 웹툰도 엄연한 유료 콘텐츠이며 불법 웹툰을 보지 말아 달라고 촉구하는 캠페인까지 벌이게 됐다.
국내 대표 웹툰 업체들이 모인 웹툰불법유통대응협의체(웹대협)는 이날 각 플랫폼사가 사이트를 열어 ‘내돈내툰(내 돈 주고 내가 산 웹툰), 우리가 웹툰을 즐기는 방법’ 캠페인을 시작했다. 웹대협에는 네이버웹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레진엔터테인먼트, 리디 등 7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플랫폼사들은 입을 모아 “웹툰을 사랑하는 국내외 웹툰 독자와 창작자들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웹툰 산업을 위협하는 불법유통을 뿌리뽑겠다”며 “웹툰 불법유통은 작가의 자산을 훔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웹툰 작가들도 함께 참여해 불법 유통을 막아 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나 혼자만 레벨업’의 장성락 작가는 “웹툰은 작가들의 피와 땀이 녹아 있는 저작물”이라며 저작권 보호를 호소했다.
네이버, 카카오, 리디 등 국내 웹툰 업계가 미국·일본·유럽· 동남아 등 전 세계 각지에 진출하면서 웹툰 불법 유통으로 인한 피해는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웹툰 불법유통으로 인한 잠재 피해 규모는 합법적 시장 규모(6,400억 원)의 10배가 넘는 6조6,600억 원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저작권보호원에 따르면 불법 웹툰 신고 건수는 지난 2017년 474건에서 2020년 3,844건으로 8배나 늘었다. 코로나19 이후 지난 1~2년 사이 전 세계적으로 웹툰 수요가 크게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피해 규모는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카카오의 웹툰 계열사인 픽코마 유럽의 김형래 대표는 이날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한 ‘유럽 콘텐츠산업 전망 세미나’에서 “불법사이트에서 불법번역을 통해 서비스되는 ‘스캔본 번역’은 유료 서비스되는 콘텐츠의 경제적 가치를 저해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웹툰 업계는 불법 사이트 단속 및 민·형사상 소송과 함께 지난해 10월 웹대협을 출범시키는 등 불법 유통 근절을 위해 적극 대응하고 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불법 유통 전문 단속 업체와 제휴를 맺어 불법 URL을 차단하는 활동을 하고 있고, 네이버웹툰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불법 사이트를 잡아내고 있다. 하지만 웹툰 불법 유통은 쉽사리 근절되지 않고 있다. 김효용 한국애니메이션 학회장(한성대학교 ICT디자인학부 교수)은 “한국 웹툰이 세계화되며 불법 유통으로 인한 피해도 커져 1억 원을 벌어야 하는 작가가 5,000만 원밖에 못 버는 실정"이라며 "무책임한 클릭 한 번이 한국 웹툰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짓밟는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