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대중교통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지난해 3월부터 시행 중인 노선 입찰제를 기반으로 하는 준공영제 광역버스 ‘경기도 공공버스’가 운행 안전성 등 각종 서비스 지표에서 이전보다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경기도 공공버스는 공공이 노선을 소유하고 입찰 경쟁으로 선정된 민간 운송사업자에게 일정 기간 운영권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 등 이전 방식보다 공공성을 한층 더 강화했다.
특히 운송사업 수익성 저하나 코로나19 같은 외부환경 변화에도 감차·폐선 등 피해 없이 ‘안정적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실제 펜데믹이 선포된 지난해 3월 경기도 광역버스의 가동대수와 운행횟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837대, 3,990회에서 762대, 3,395회로 떨어졌지만, 공공버스 시행 1년째인 지난 3월에는 965대, 4,380대로 가동대수는 15%, 운영횟수는 1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올해 2~8월 전국 16개 시도의 버스 수송 인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줄고, 매출액도 24% 준 것을 고려하면 놀라운 성과다.
또 공공버스 전환에 따라 운수종사자들의 처우가 대폭 개선되며, 여객 법 등 관련 규정 준수 등 ‘안전 운행’을 유도한 것도 주목할만하다.
같은 노선을 기준으로 지난해 민영제 운행 기간과 올해 공공버스 운행 기간을 비교할 시, 과징금 건수는 87%(47건→6건) 줄었고, 과태료 부과 건수는 40%(234건→140건)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추세는 고객 만족도 평가에서도 나타났다.
같은 노선에 대해 민영제와 공공버스에 대한 서비스 평가를 비교·분석한 결과 총점은 1.2점 상승했고 ‘차내 쾌적성’, ‘안전 수칙 준수’ 점수가 각각 4%, 0.6% 증가했다.
경기도 공공버스는 지난해 3월 16개 노선 120대를 시작으로 현재 220개 노선, 2,078대(전체 광역버스의 90%)까지 확대해 운영 중이다.
허남석 경기도 교통국장은 “전국 최초로 경기도 공공버스를 도입해 시행한 지 2년 만에 민영제,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보다 제도적 우수성이 검증 됐다”며 “앞으로도 소외지역 노선 배려, 비수익 노선 유지, 신도시 개발에 따른 신규노선 개척 등 승객 중심의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