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의존도 높은 20개 품목 모니터링 강화한다…매주 상황 보고

해외공관서 가격·수급·현지수출정책·동향 담은
‘핵심품목 관리카드’ 작성해 매주 산업부에 보고
FTA 57개국과의 네트워크로 공급망 교란 대응

지난 2일 울산항 2번 부두에 정박한 중국 '후이펭'(HUI FENG) 6호에서 차량용 요소 하역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중국발 요소수 품귀 사태’와 같은 원자재 수급난 재발 방지를 위해 중국 의존도가 높은 20개 핵심품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또 중국 외 국가에서도 이들 품목에 대한 생산능력과 수급동향을 심층 조사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유정열 코트라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점검회의‘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날 화상으로 진행된 회의에는 미국과 중국, 일본 등 주요 9개국 해외 상무관과 코트라 무역관장도 참석했다.


산업부는 최근 중국시장 동향점검 결과 일부 품목이 현지 수요 증가와 공장 가동 중단 등에 따른 수급 불안 우려가 큰 만큼 해당 품목에 대한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요소수 사태를 계기로 대외 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집중 관리하기로 하고, 이중 주력산업과 직결되는 마그네슘, 텅스텐, 네오디뮴 등 20개 품목은 우선 관리품목으로 선정했다.


이날 회의에서 핵심품목 의존도가 높은 지역의 현지공관과 무역관은 20개 우선 관리품목의 가격과 수급, 현지업계 동향, 수출국 정부정책 등을 담은 ‘핵심품목 관리카드’를 작성해 매주 산업부 등에 보고하기로 했다. /또 최근 글로벌 공급망 교란 이슈와 관련해서는 우리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57개국과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공급망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여한구 본부장은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은 ‘상호 연계와 의존성’에 있는 만큼 공급망 핵심 국가들과 사전에 공급망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공급망 안정화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급망 연대·협력 파트너국’을 선별해 전략적 협력을 추진하고, FTA 등 기존 제도를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