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RIS’ 400억 증액…대구시 내년 공모사업 준비 청신호

예산 증액 위해 지역구 및 여·야 막론 마지막까지 국회 설득
복수형 선정시 국비 2,000억원 지원 대규모 국책사업

2022년 교육부 RIS 예산안./제공=대구시

대구시의 내년 교육부 지역혁신사업(RIS) 공모 준비에 청신호가 켜졌다.


대구시는 2022년 교육부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RIS’ 예산이 정부안 2,040억 원에서 신규 플랫폼 1개소 추가 선정 예산 400억 원이 증액된 2,440억 원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9일 밝혔다.


대구시에 따르면 당초 정부안에 반영된 신규 플랫폼 선정 예산은 단수형 플랫폼 예산 규모(300억 원)로, 복수형을 준비하고 있는 대구·경북에는 현저히 불리한 상황이었다. 이에 시는 복수형 플랫폼 예산 확보를 위해 소관 상임위와 예결위 소속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사업 시급성과 필요성을 끈질기게 설득, ‘신규 플랫폼 1개소 추가, 400억 원 증액’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시는 내년 공모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지난 10월 킥-오프 회의를 시작으로, 지난달 지역전문가들로 구성된 ‘사업추진 기획단’을 발족, 2차례 공모 탈락 원인 분석 및 보완대책 마련, 사업계획 재정비 등에 나서고 있다.


RIS은 지방소멸 위기 대응 및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교육부가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공모 선정 시 최대 5년간 국비 2,000억 원(복수형 400억 원 기준, 지방비 30% 대응)이 지원되는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현재 충북(단일), 광주·전남(복수), 울산·경남(복수), 대전·세종·충남(복수) 등 8개 지자체, 4개 플랫폼이 선정돼 운영 중이다. 내년에는 현 정부 마지막 공모인 만큼 대구·경북을 비롯한 미선정 지자체 간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교육부 RIS 사업은 지역의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될 중요한 사업”이라며 “지역위기 극복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해 공모사업을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