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내년 사회적금융 5,696억 공급 목표"

16일 제3차 ‘사회적금융협의회’ 개최


공공 부문이 사회적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자처하면서 올해 10월까지 사회적경제기업 2,508곳에 5,586억 원의 자금이 공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설정한 연간 공급 목표(5,162억 원)를 초과 달성한 것으로 금융 당국은 내년 목표치(5,696억 원)를 올해보다 약 10% 높여 잡았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제3차 사회적금융협의회’를 열고 올해 사회적금융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내년도 추진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사회적경제기업은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소셜벤처 등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10월 말 기준 집행 내역을 들여다보면 서민금융진흥원 등을 통해 1,108개 기업에 1,666억 원(기업당 약 1억 5,000만 원)의 대출이 나갔다. 1,314개 기업은 신용보증기금 등으로부터 3,110억 원(기업당 약 2억 4,000만 원)의 보증을 받았다. 한국성장금융 등은 86개 기업에 810억 원(기업당 약 9억 4,000만 원)을 투자했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출을 줄이고(2021년 목표치 1,700억 원 → 2022년 목표치 1,600억 원) 투자는 늘린다(2021년 목표치 962억 원 → 2022년 목표치 1,246억 원)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성장금융이 사회투자에 관심 있는 민간투자자를 직접 모집해 자펀드 결성 시 매칭 출자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현재는 자펀드 운용사(GP)가 성장금융(앵커출자자) 외 일정비율의 민간투자자를 모집해야 한다.


보증의 경우 올해 목표(2,500억 원) 대비 약 14%(350억 원) 증가한 2,850억 원의 공급 목표를 세웠다.


한편 은행권의 9월 말 사회적경제기업 대출잔액은 1조 2,612억 원으로 작년 12월 말(1조 1,213억 원) 대비 12.5%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기업(3,505억 원, 27.8%), 신한(2,560억 원, 20.3%), 농협(1,582억 원, 12.5%) 순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