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도 ESG법제화 신중론

"비재무정보 규제는 조심해야
전세계 통일 기준부터 마련을"
글로벌 기업협의체 VBA 밝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공시 제도화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유럽연합(EU)·미국·일본 등 각국에서 주요하게 논해지는 사안이다. 그러나 해외 ESG 전문 협의체에서도 비재무 정보 규제 도입에 조심스레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등 국제사회에서도 ESG 공시 제도화에 신중론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16일 금융 투자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기업 협의체인 VBA(Value Balancing Alliance)는 지난 7월 입장문을 통해 “세계적으로 통일된 기준을 만들기 전까지 EU는 특정 표준을 도입하면 안 된다”고 밝혔다. EU는 국제사회 내에서도 ESG 공시 기준 마련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는 곳으로 꼽힌다.


VBA는 지속가능성 공시 규준을 표준화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 기업 협의체다. 독일 기업 바스프가 의장사를, SK그룹과 스위스 제약사 노바티스가 부의장사를 맡고 있다.


VBA는 “EU 택소노미(녹색분류체계)는 기존의 구조를 뛰어넘는 정보를 요구하고 있으나 현재 기업들은 이러한 정보가 없으며 관련 시스템을 갖추지도 못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6월에는 헤스터 퍼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이 5월 하원 의회를 통과한 ‘기업 ESG 공시 및 단순화법’에 대해 반대 성명을 내기도 했다. 그는 “ESG는 명확한 경계 및 내부 결합을 정의하기에 부적합하다”며 “많은 ESG 문제는 재무적 중요성과 명확한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SEC에서 의무적으로 공시하는 내용에 포함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