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장관 "AI 살처분 최소화 노력… 범위 더 줄일 수도"

"아직은 관리 가능 수준… 앞으로 1~2주 방역 집중"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세종=이호재기자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살처분 마릿수를 줄이기 위해 현재 최소 살처분 범위인 500m를 더 줄일 필요도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앞으로는 위험도에 비례한 살처분이 이뤄질 것”이라며 “현재 위험도를 평가해서 살처분 기본값을 AI 발생농장 반경 500m로 유지하고 있는데 이를 낮출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AI 확산 위험이 높고 지역이 많이 오염됐다면 살처분 범위를 넓히고, 그렇지 않으면 줄여도 된다”면서도 “대신 바이러스를 눈으로 다 볼 수 없기 때문에 신축적으로 살처분 범위를 조정하는 대신 검사는 훨씬 강화하는 것이 올해 AI 방역 정책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 장관은 올 가을 이후 가금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 13건 중 7건을 사전 검사를 통해 발견한 점을 성과로 꼽았다. 그는 “AI 증상이 크게 나타나지 않는 오리의 경우 검사 주기를 단축해서 사전으로 포착해내고 닭 등 다른 가금의 경우 농가가 신고를 강화할 여러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지난 겨울 AI 살처분으로 달걀값이 급등했지만 올해는 같은 현상이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게 김 장관의 판단이다. 그는 “지금까지 70만 마리가 살처분됐지만 달걀 가격은 안정적인 모습”이라며 “올해는 살처분 마릿수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올해 중반기까지 입식이 진행돼 현재는 달걀 생산이 늘어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올 겨울 AI 방역과 관련해 달라진 또 다른 점은 간이진단키트 검사를 없앴다는 점이다. 김 장관은 “위양성·위음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는 간이진단키트 검사를 없애고 모두 PCR 검사로 실시하고 있다”며 “아직은 AI 방역이 정부가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잘 이뤄지고 있지만 앞으로 1~2주가 위험 시기가 될 수 있는 만큼 방역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