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소비 조장, 빚 더 늘릴라"…美 규제당국 '후불결제' 첫 조사

페이팔 등 BNPL업체에 자료 요청
문턱 낮아 저신용자도 이용 가능
"소비자 선택뤝 제한" 목소리도

피터 틸 페이팔 공동창업자

미국 규제 당국이 처음으로 ‘후불결제(Buy Now Pay Later·BNPL)’ 업체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BNPL 서비스가 소비 여력이 없는 이들에게 과소비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잇따르자 규제를 위한 사전 정지 작업에 나섰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6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은 이날 페이팔·애프터페이·어펌·클라르나 등 BNPL 업체에 자료를 요청했다. CFPB는 “BNPL 서비스가 소비자의 부채를 늘리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등을 조사하는 데 도움이 될 정보를 보내달라고 해당 업체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CFPB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국제 규제 기관 등과 협력하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추후 조사를 통해 문제가 드러날 경우 규제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CFPB가 처음으로 BNPL 업체에 대한 조사에 나선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의 시스템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BNPL은 고객 대신 상품 구매 금액을 업체가 먼저 즉시 결제한 후 고객에게는 무이자 할부로 원금을 받는 서비스다. 은행 대출이나 신용카드 발급과 달리 신용도가 낮은 이들도 해당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저신용 등으로 소비에 제한이 걸린 젊은 층이 해당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고 코로나19의 여파로 온라인 쇼핑 수요까지 증가하면서 BNPL 업체들은 지난 수년간 급성장했다. 대표적인 업체 중 한 곳인 어펌의 지난 6월 말 기준 거래 규모는 83억 달러(약 9조 8,206억 원)로 전년 동기(46억 달러)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문제는 이러한 시스템이 과도한 빚을 유발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미 설문 조사 업체 어센트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BNPL 사용자 중 45%가 자신의 예산을 뛰어넘는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 서비스를 이용했다고 답했다. 신용카드 한도가 초과돼 사용했다는 응답자도 17%에 달했다. CFPB가 소비자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워 고강도 조사에 착수했지만 반론도 만만찮다. 팻 투미 공화당 상원 의원은 “이번 조사는 소비자의 선택을 제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