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발생과 사회적 거리 두기 장기화로 피해가 집중되는 자영업자의 부채가 급증해 887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중·저소득층이나 비은행 금융기관 등 상대적으로 취약한 계층과 업권에서 대출이 집중적으로 늘어난 가운데 내년 3월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되면 채무 상환 능력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자영업자의 대출 규모는 887조 5,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 증가했다. 가계대출 증가율(10.0%)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자영업자 대출은 코로나19 영향이 집중된 도소매·숙박음식·여가서비스 등 대면 서비스 업종에서 큰 폭으로 늘었다. 소득 분위로는 중·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비은행 금융기관에서 대출이 빠르게 증가했다.
문제는 자영업자가 임금 근로자 등 비자영업자보다 대출 규모가 클 뿐 아니라 원리금 상환 부담도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임금 근로자보다 소득은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최근까지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는 등 대내외 충격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자영업자 폐업률은 지난해 기준 11.8%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12.7%)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 중이다. 코로나19 매출 충격에도 폐업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부채가 누증되는 상황이다.
자영업자 부채가 크게 늘어나는 가운데 내년 3월 만기 연장과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되면 부실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원 조치가 종료되면 기존 유예됐던 원리금 상환액을 추가 부담해야 하는 만큼 자영업자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1.3%로 지원 조치가 계속되는 상황(39.1%)보다 2.2%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여가서비스(3.3%포인트)나 개인서비스(3.7%포인트) 등에서 상대적으로 DSR이 큰 폭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 변이 발생과 사회적 거리 두기 장기화로 자영업자의 채무 상환 능력이 악화될 수 있어 관계 당국이나 금융기관 등은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라며 “취약·고위험 자영업자에 대한 맞춤형 관리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