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이오협회가 국내 대학들과 손잡고 나선 바이오융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프로젝트가 업계의 인력난 해소에 ‘단비’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30명의 전문가를 배출한 것을 포함해 5년간 총 150명의 융복합 전문가를 양성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전세계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와 인공지능(AI) 기반 바이오 소재 개발 인력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바이오협회는 오는 2026년까지 5년간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바이오융복합기술 전문인력양성 사업을 진행해 총 150명의 융복한 전문가 양성에 나선다. 총 사업비는 101억 규모이며 건양대, 아주대, 청주대 등이 참여한다.
최근 의료기술에 AI 등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전문인력은 부족해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지난 2017년 1,180억 달러(약 141조 원)에서 오는 2023년까지 연간 21%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의료 AI시장은 2017년 22억 달러(약 2조 원)에서 연 48.4%, 의료 빅데이터 시장은 같은 기간 89억 달러(약 11조 원)에서 연 27.3%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양질의 전문인력은 부족한 상황이다. 바이오 융복합 분야 석·박사 전문인력 부족률은 11.6%로 학사 부족률 7.1%를 넘어선다. 분야별로는 연구개발 분야 50.9%, 구매·영업·시장조사 32%, 생산기술 22.7%순으로 인력이 부족하다.
협회는 이같은 상황을 반영해 대학들과 손잡고 디지털 헬스케어, AI기반 바이오 소재 개발 분야의 전문가를 육성한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아주대와 건양대, AI기반 바이오 소재 분과는 청주대가 맡는다. 각 학교에 석·박사 과정을 열고, 참여기업과의 협력으로 산학프로젝트를 제공한다. 아주대에는 휴민텍·액트 등 7개 기업, 건양대에는 유클리드소프트·쓰리웨이소프트 등 5개 기업, 청주대에는 한국유나이티드제약·엘에이에스 등 6개 기업이 함께 산학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학위 과정에서는 참여학과 교수와 산학프로젝트 기업의 실무자가 멘티-멘토를 구성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방학기간에는 학생들을 기업에 파견해 현장학습을 진행한다.
첫해부터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올해 배출한 30명의 전문인력들 중 건양대 학생 4명은 유클리드 소프트(패혈증 조기예측)에서, 청주대 학생 1명은 티에스바이오(세포치료제 개발연구)에서, 아주대 학생 1명은 아스트론(뇌졸중 환자 대상 운동촉발기능)에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이외에도 협회는 2~3일 단기전문과정을 도입해 5년간 500명을 교육하고, 협력 학교들은 산업 수요를 반영해 5년 동안 9건의 교과목 개발·30건의 교과목 개선을 진행할 방침이다.
협회 관계자는 "기업은 전문인력을 확보해 신산업 창출 및 사업 확장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교육생들은 연구개발을 위한 최신 기술과 실무 경험 확보로 현장직무에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