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교육 개혁과 ‘사회적 대타협’을 강조했다. 빠른 기술 발전에 발맞춰 각 분야 전문가를 키워내기 위해서는 정권에 휘둘리지 않는 장기적인 교육정책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다.
안 후보는 지난 2일 서울경제와 만난 자리에서 “지금까지 선진국이 된 나라 중 교육 개혁을 거치지 않은 나라는 하나도 없다”며 “장기적인 정책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는 방법을 찾는 게 제일 중요하고, 그 방법은 사회적 대타협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적 대타협을 제안하며 “여야 정치권, 행정부, 학부모, 학생, 교수, 사교육자가 모두 모여 10년 계획에 합의를 하는데, 중요한 것은 대통령이 자기 권한을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렇게 매년 합의가 되면 정권이 바뀌어도 유지가 된다. 올해 하면 2022년부터 오는 2032년까지, 그다음에 하면 2023년부터 2033년까지 롤링플랜(rolling plan·연동 계획)이 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교육 개혁이 필요한 이유로는 지난 1950년대 한국을 예시로 들었다. 그는 “한국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국민소득이) 100달러에서 3만 달러가 된 나라”라며 “1950년대에 초등학교 의무교육 법안이 통과됐는데, ‘경제개발5개년계획’을 시작하고 인력이 이미 준비돼 있었다. 미리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어서 그쪽에 필요한 인재들을 키운 것이 우리나라가 산업화 시대에 성공했던 요인”이라고 집었다.
이어 “똑같은 교훈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용하면 10년·20년 이후를 준비한 인재를 기르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육 개혁이 필요한데 그걸 지금 안 하고 있는 것”이라며 “교육 개혁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20년이 걸린다. 올해 대통령이 시작하면 결과는 2040년쯤 나오는 거다. 지금이라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개혁 방향으로는 ‘학제 개편’과 ‘콘텐츠’를 들었다. 그는 “70년 전 학제가 지금도 그대로”라며 “만 3세 때 유치원 공교육으로 입학하고 만 5세 때 초등학교 들어가면 노동력이 부족한 시대에 1년이라도 빨리 사회에 진출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또 “인성·적성·창의력에 중점을 둔 교육 콘텐츠로 완전히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