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로 각국 정부에 비상이 걸렸다.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물류·인력난에 따른 공급망 차질이 여전한 상황에서 최근에는 한층 노골화한 ‘자국 우선주의’가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 내수 안정을 이유로 인도네시아는 석탄, 아르헨티나는 육류 수출을 제한했고 러시아는 천연가스를 무기화하고 있다. 그 결과 올해 중간선거를 앞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 달 뒤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비롯해 인플레이션으로 골머리를 앓는 정상들이 하나둘이 아니다.
바이든, 육류 업체에 담합 경고
인플레이션 위기에 처한 바이든 대통령은 기업에 책임을 묻는 모양새다. 3일(현지 시간) 바이든 대통령은 육류 가격을 문제 삼았다. 그는 이날 소규모 농장·목장 업체들과 화상회의를 열어 “4곳의 대형 육류 가공 업체가 시장을 장악했다”며 “경쟁 없는 자본주의는 자본주의가 아닌 착취”라고 비판했다. 전년 대비 16% 오른 육류 가격이 타이슨·카길·내셔널비프패킹·JBS 등 대형 육가공 업체 간 담합에 따른 결과라고 몰아세운 것이다. 그는 “소규모 육류 가공 업체에 10억 달러(약 1조 2,000억 원)를 지원하고 경쟁 위반 사항을 신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도 했다.
앞서 바이든은 지난해 말에도 유가 안정을 위한 전략비축유 방출을 밝히면서 석유 메이저를 싸잡아 비판한 바 있다. 외신들은 오는 11월 중간선거 전까지 물가를 잡지 못하면 정권이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감이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실제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제외하고 2차 세계대전 이후 연임에 실패한 대통령들은 모두 인플레이션에 발목을 잡혔다. 제럴드 포드와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1970년대 유가 파동에 따른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극복하지 못했고 조지 H W 부시(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은 걸프전 이후 고물가를 잡지 못했다.
“고물가 원인 잘못 짚어” 비판 거세
하지만 워싱턴포스트(WP)는 “원인을 잘못 짚었다”고 지적했다. 최근의 고물가는 인력난과 과도한 유동성 공급 등 구조적인 원인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실제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 노동자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미국의 경제 재개가 본격화한 지난해 5월부터 계속 올라 11월에는 시간당 31달러를 넘어섰다.
여기에 지난해에만 1조 9,000억 달러 규모의 경기 부양 예산을 집행한 바이든 행정부는 올해도 2조 달러 규모의 사회 복지 지출을 위해 관련 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이 때문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공식화에도 물가 안정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확산도 걸림돌이다. 월마트의 경우 지난달 소독을 이유로 약 60개 매장을 일시 폐쇄했다. 곳곳에서 불안정한 경제 상황이 나타나 물가 불안을 부추기고 있다는 의미다.
중국도 생산비 급증으로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중국이 석탄 수입의 61%를 의존한 인도네시아가 이달 한 달간 석탄 수출을 금지하면서다. 이미 4일 중국의 선물 석탄 가격은 7.8% 급등했다. 여기에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액화천연가스(LNG)와 식용유 수출 상황도 검토하라"고 지시했고 아르헨티나는 소고기 수출 제한을 2년 연장했다.
중국도 비상…터키는 정권마저 휘청
중국으로서는 설상가상이다. 인도네시아산 석탄은 중국 석탄 수입의 70%(2021년 기준 추정), 아르헨티나 쇠고기는 중국 총수입의 75%(2020년 기준)를 차지한다. 특히 석탄의 경우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제한으로 유럽도 전력난을 겪고 있어 문제가 더 꼬일 수 있다.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라는 점에서 중국의 고물가는 전 세계에 인플레이션을 수출하는 통로가 되기 쉽다. 다만 춘제(중국 설, 1월 31일~2월 6일)로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는 점은 다행스러운 대목이다.
터키는 고물가로 그야말로 정권 차원의 위기에 봉착했다. 지난해 12월 터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36.08%(전년 동기 대비) 올라 2002년 9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금리 인하(리라화 가치 하락)로 수입 물가를 올려 수입을 줄이고 수출을 늘려 경제 선순환을 꾀한다는 복안을 가졌지만 경제는 엉망진창이 됐다. 포린폴리시(FP)는 “내년 대선에 출마할 예정인 에르도안이 정책을 뒤집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