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메타버스’로 간다…정의선의 모빌리티 무한 진화[CES 2022]

자율주행차, 회의장 등 메타버스로 연결
메타버스서 로봇 통해 현실과 상호작용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로보틱스와 메타버스가 결합된 ‘메타모빌리티(Metamobility)’를 통해 인간의 이동 경험을 확장하고 궁극적인 이동의 자유를 실현하겠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정 회장은 현지시간 4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2 프레스 컨퍼런스를 통해 “로보틱스를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메타모빌리티’로 확장할 것이며, 이를 위해 한계 없는 도전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메타모빌리티는 정 회장이 최초로 제안한 개념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등 스마트 디바이스가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연결돼 인류의 이동범위가 가상 공간으로 확장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완전 자율주행이 시행되면 자동차나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AM)는 가상 공간으로 접속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변모하고, 사용자는 자동차 안에 구현되는 실제 같은 가상 공간 속에서 다양한 경험(in-car experience)을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엔터테인먼트 공간이 되기도 하고 업무를 위한 회의실이 되기도 하며, 3D 비디오 게임을 즐기기 위한 플랫폼으로 변신할 수 있다.


‘로보틱스’는 이 과정에서 현실과 메타버스를 잇는 매개체 역할을 맡는다. 메타버스에 접속해있는 사용자가 로봇을 통해 현실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가령 사용자가 메타버스에 구축된 가상의 집에 접속하면, 로봇에게 명령해 실제 집에 있는 반려동물에게 먹이를 주고 산책을 하는 식이다. 사용자는 현실과의 동기화를 통해 마치 실제로 직접 행동하는 듯한 경험을 즐길 수 있다.


정 회장은 “로보틱스는 더 이상 머나먼 꿈이 아닌 현실”이라며 “현대차는 로보틱스를 통해 위대한 성취를 이루고자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