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中企 철도 국제인증 취득 지원해 229억원 수출 성과

505억원 수입대체효과도… 올해 지원액 상향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철도 용품 국제인증 취득을 지원해 229억 원 상당의 수출 성과를 냈다.


국토부는 철도 용품 국제인증 취득 지원사업으로 중소·중견기업이 총 20건의 철도 기술 국제 인증을 취득했다고 14일 밝혔다. 그동안 중소·중견 철도기업은 우수한 기술력을 가졌지만 큰 비용과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국제인증 절차의 진입장벽으로 인해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국토부는 2018년부터 총 35개사 51건의 철도 기술을 선정해 시험·인증비, 공장심사비, 컨설팅비 등 총 39억 1,000만원을 지원했다. 국제인증 취득 관련 경험과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업계 종사자 등 670여명이 참여한 인증 취득 교육 과정도 운영했다.


우리 기업이 취득한 국제인증은 안전인증(SIL) 10건, 품질인증 8건, 기타인증 2건 등이다. 수직형 스크린도어 등 7건의 기술은 안전성 최고등급을 취득해 세계적 수준의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국제인증을 바탕으로 이집트, 프랑스, 폴란드, 방글라데시, 미국 등의 해외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해 수출이 이뤄졌다.


국토부는 수출 성과 외에도 국제인증 취득 지원으로 505억 원 상당의 수입대체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수입품에 의존하던 신호·안전용품은 국제인증 취득 국산 제품으로 대체됐다.


강희업 국토부 철도국장은 “올해부터 판로개척 비용도 지원하고 인증취득 지원금액도 상향할 계획”이라며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 철도기업의 저변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국제인증 취득 지원금은 기존 1건당 최대 1억원(총비용의 60% 한도)에서 1억 5,000만원으로 상향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