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What] 구매력·증시·성장률 '뚝뚝뚝'…돈도 기업도 日열도 떠난다

■추락하는 일본경제
실질임금 30년간 4% 증가 그쳐
1인당 GDP 4.2만弗, 韓에도 뒤져
엔화 5년래 최저…수입물가 상승
탈탄소·금융규제에 경영환경 악화
부채율 높아 부양 카드도 마땅찮아
기업·부유층 해외 사업·투자 확대
유력 주간지 "日 몰락하고 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5일 도쿄에서 열린 기업인 신년 하례회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일본 경제의 국면 전환을 위해 임금 인상에 공격적인 자세로 협력해달라”고 강조했다./AP연합뉴스

일본이 불황의 악순환을 끊어내지 못하고 있다. 임금 수준은 30년째 답보하는데 엔화 가치는 5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져 구매력 하락세가 완연하다. 기업 환경도 악재투성이다. 탈(脫)탄소 드라이브를 건 일본 정부는 자사주 매입 규제까지 검토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이 강력한 경제 반등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골머리를 앓는 가운데 일본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가 제기되는 판이다. 상황이 이렇자 ‘일본이 몰락하고 있다(유력 주간지 주간 다이아몬드의 스즈키 다카히사 부편집장)’는 자극적인 카피를 동원한 경고까지 나오고 있다.



실질임금은 제자리수입물가는 올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보고서에서 “일본의 낮은 임금 성장률로 가계의 실질소득이 감소했다”고 꼬집었다. 지난 2020년 일본의 연간 실질임금(구매력 평가 기준)은 3만 8,515달러로 30년간 단 4% 증가에 그쳤다. 미국(50%), OECD 평균(33%)과 비교하기도 어려운 수준이다.


이는 구매력 감소로 직결됐다. 같은 해 일본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4만 2,442달러로 미국·독일 등 선진국은 물론 우리나라(4만 5,363달러)에도 뒤처졌다.


이날 패션 브랜드 유니클로의 모기업 패스트리테일링이 새로 채용할 경력 직원에게 최대 10억 엔(약 104억 원)의 연봉을 주겠다는 파격적인 소식도 나왔지만 이는 극히 예외적인 사례로 통한다.


문제는 엔화 가치마저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14일 기준 엔·달러 환율은 114.19엔이었다. 1주일 전의 116.34엔보다는 엔화 가치가 조금 올랐지만 2017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낮다. 엔화 가치가 하락하면 원자재와 에너지 등 수입 물가가 뛴다. 그 여파로 지난해 12월 일본의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8.5% 올랐다. 기업 입장에서는 비용이 늘었지만 제자리걸음인 임금 상승으로 소비자는 지갑을 열기 어렵다. 기업 경영도 악화할 수밖에 없다.





기업 ‘악화일로’…반등 모멘텀이 없다



물론 엔저는 수출 기업에 유리하다. 문제는 엔저 효과가 줄고 있다는 점이다. 엔저 수혜 대상인 제조업 비율은 GDP 대비 1970년대 35%에서 최근 20%로 떨어졌다. 여기에 오는 2050년 탄소중립(탄소 실질 배출 제로) 선언 등 기시다 후미오 내각의 탈(脫)탄소 정책으로 기업의 부담은 더 커졌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일본의 지난해 GDP 성장률 전망치는 1.7%로 미국(5.6%), 유럽연합(5.2%)보다 현저히 낮다.
이 때문에 증시는 맥을 못 추고 있다. 스즈키 부편집장은 11일 “미국 나스닥지수가 최근 5년간 3배 올랐지만 닛케이225지수는 1.6배 상승에 그쳤다”며 “부유층은 해외 투자 비중을 늘리며 일본을 버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 불황으로 기업들도 해외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닛케이아시아는 “지난 20년간 일본 기업의 해외 매출은 2배 이상 늘었지만 국내 매출은 7% 증가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가 쓸 수 있는 부양 카드가 많지 않은 점도 답답한 대목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일본의 GDP 대비 부채 잔액은 2020년 기준 237.6%로 이탈리아(133.7%), 미국(108%)보다 높다. 노무라증권은 “기준금리와 부채 상환 비율, 실질 주가 등을 고려하면 일본은 미국·대만 등과 함께 향후 3년간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는 국가”라고 언급했다.



교육도 뒤져…인재 육성 ‘빨간불’



고령화와 교육 문제도 심각하다. 더디플로맷은 “일본 인구의 평균 연령은 48.4세”라며 “성인용 기저귀가 아기용 기저귀보다 2.5배 더 많이 팔린다”고 전했다. 이어 “현재 1억 2,700만 명인 인구는 2065년까지 4분의 1 이상 감소할 것”이라며 “일할 수 있는 국민이 줄어든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정보기술(IT) 등 미래 산업을 이끌 인재도 양성하지 못하고 있다. 2018년 OECD에 따르면 미국·유럽의 15세 청소년 중 67%가, 동아시아에서는 50%가 1주일에 1~2회 이상 컴퓨터를 사용한다고 답했지만 일본은 단 9%에 그쳤다. 스즈키 부편집장은 재정 완화, 답보하는 증시, 금융 규제 강화, 엔저, 수입물가 상승, 탈탄소, 후진적인 교육 등을 “일본을 공격하는 칠중고”로 꼽으며 “결국 일본이 ‘가난한 대국'이라는 평가를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