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첫 화물기 도입…“UAM 사업도 진출”

올해 상반기 B737 화물기 도입
화물사업 확대로 수익구조 다변화
내년 여객기 추가로 중단거리 경쟁력 강화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가 창립 17주년을 하루 앞둔 24일 메타버스를 활용한 가상공간에서 열린 창립기념식에서 올 상반기 B737 화물기 도입 계획을 전하고 있다./사진 제공=제주항공


제주항공(089590)이 올 상반기 화물기를 도입해 화물 사업을 본격화한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는 창립 17주년을 하루 앞둔 24일 메타버스를 활용한 가상공간에서 열린 창립기념식에서 “올해 상반기 B737 화물기를 도입해 화물 사업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물 전용기 도입으로 화물 운송사업을 확대해 수익구조를 다변화한다는 의지다.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코로나19 사태로 여객 운송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기존 사업구조의 한계를 체감하고 있다. 대형항공사(FSC)들이 여객 수요가 급감한 상황에서도 화물 사업을 기반으로 선방 중인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내년에는 여객기도 추가로 도입한다. 김 대표는 “내년에는 B737-맥스 기종을 도입해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갖춰 중단거리에서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주요 사업모델인 중단거리 노선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다.


올해 제주항공의 전략 키워드는 ‘비도진세’다. 김 대표는 이를 위해 자원과 조직의 효율적 활용, 기회의 포착과 끊임없는 도전 등 두 가지를 당부했다. 그는 “한정된 인적?물적 자원의 효율적인 협업으로 ‘하나의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특히 양대 항공사와 LCC 자회사의 통합을 포함한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구조개편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긴 호흡으로 상황을 분석하고 유연하게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래사업 중 하나로 꼽히는 도심항공교통(UAM) 사업에 대한 관심도 드러냈다. 김 대표는 “정부가 2025년 UAM 초기 상용화 단계를 추진 중이라 당장 현실화될 사업은 아니다”면서도 “UAM 산업 생태계에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업계 등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고 상반기 내 구체적인 성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